•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단독] ‘CNK 다이아몬드’ 국내 생산공장 베일 벗었다

언론 최초 ‘다이아’ 가공현장 취재… 檢 vs CNK ‘진실공방’ 가열

  •  

cnbnews 도기천기자 |  2014.04.15 11:00:39

▲CNK의 다이아몬드 판매 직영점인 ‘갤러리 OVOCO’(왼쪽)와 내부 전경. (사진=도기천 기자)

검찰이 오덕균 CNK인터내셔널 대표를 자본시장법과 국회 위증혐의 등으로 지난 13일 정식 기소함으로써 일명 ‘다이아몬드 게이트’로 불리는 ‘CNK 주가조작 사건’이 2라운드에 돌입했다.

지난 2012년초 감사원과 금융위원회가 오 대표와 정부 고위관료들을 주가조작 혐의로 검찰에 고발하면서 시작된 이번 사건은 2년 넘게 진행된 수사에도 불구, 검찰이 사실상 ‘다이아몬드 개발의 실체’를 제대로 밝히지 못함으로써 향후 재판은 양측(검찰과 CNK)의 주장에만 의존해야 할 판이다. 

이에 CNB가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인 다이아몬드 개발의 실상을 파헤치기 위해 국내언론 최초로 CNK가 운영하고 있는 다이아몬드 가공 공장을 직접 취재, 양측의 ‘진실공방’을 생생하게 비교했다. (CNB=도기천 기자)   

플래닝→쏘잉→브루팅→폴리싱 4단계 가공
2140캐럿 나석으로 재탄생, 원석 가치 수십배
원석 다이아 품질 22개 생산국 중 상위권

일명 ‘다이아몬드 게이트’로 불리는 CNK 사건은 2010년 12월 17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날 외교부는 CNK인터내셔널이 카메룬 동남부 요카도마 지역의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획득했으며, 매장량이 전 세계 연간 다이아몬드 생산량(1.7억캐럿)보다 2.5배 정도 많은 약 4.2억 캐럿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발표 후 보름여만에 코스닥 상장사인 CNK의 주가가 5배 이상 상승했다. 이에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2012년초 오 대표와 보도자료 작성에 관여한 외교부 1차관 출신인 조중표 전 국무총리 총리실장, 김은석 전 외교부 에너지자원대사 등을 주가조작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수사 초기 검찰은 “이 사건의 핵심은 다이아몬드의 실제 매장량”이라고 밝혔지만, 이 부분에 대해 현재까지 뚜렷한 확증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이선봉 부장검사)는 오 대표 등을 기소하면서 “추정매장량은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며 “상품화되어 판매된 다이아몬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2년여 간의 수사결과 치고는 궁색해 보인다. 

▲서울 종로구 옥인동 CNK 본사 4층에 위치한 다이아몬드 원석 가공공장. (사진=도기천 기자)

이에 CNB는 14일 서울 종로구 옥인동 CNK 본사를 방문, 다이아 가공 및 판매과정을 상세히 취재했다.

CNK는 카메룬 현지에서 생산한 다이아몬드 원석을 국내로 들여와 본사 4층 가공공장에서 첨단장비로 나석(컷팅된 완제품)을 만들고 있었다. 

가공은 크게 4단계로 진행되고 있었다. 원석의 내포물 등을 고려해 어떤 식으로 가공하는 것이 가장 좋을 지를 설계하는 플래닝(Planning), 설계대로 원석을 분리하는 쏘잉(Sawing), 쏘잉 작업 후 다이아몬드의 절단 면을 원형으로 만드는 브루팅(Bruting), 다이아몬드의 각 58개의 면을 정해진 각도와 길이로 가공하는 폴리싱(polising) 등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이 중 쏘잉 과정에 쓰이는 이스라엘제 레이저 가공기계는 국내에 단 2대뿐인 첨단장비로 CNK가 지난달 수입했다.

통상 동판 날을 이용한 쏘잉 작업의 경우 1캐럿 다이아몬드 원석을 절단하는데 서너 시간이 소요되지만 모든 운용이 컴퓨터로 제어되는 이 장비를 사용하면 정밀한 절단이 쉬워 40분 내외로 작업이 완료된다고 한다. 

CNK 오경욱 가공사업본부 이사는 “1캐럿 이하의 작은 원석을 처리하는 폴리싱 자동화기기도 조만간 도입해 대량생산 체제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이아몬드 원석을 분리하는 첨단장비인 이스라엘제 레이저 가공기계. 국내에 단 2대뿐이며, 지난달 수입했다. (사진=도기천 기자)

가공된 다이아몬드 5개 직영점서 판매

CNK는 카메룬 현지에서 생산한 다이아몬드 원석을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국내로 들여왔다. 지난해 1월 617캐럿, 10월에 1523캐럿을 각각 수입했는데 현재 가공중인 원석은 10월에 들여온 것이다.

현지에서 채굴된 다이아몬드는 국제인증제도인 ‘킴벌리프로세스(Kimberley Process)’의 인증을 거친 것으로 확인됐다. 

킴벌리프로세스는 분쟁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이아가 전쟁자금 등으로 쓰이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난 2002년 유엔 차원에서 설립된 제도다. 81개국이 가입돼 있으며 우리나라는 2003년 가입했다.

다이아몬드 원석의 국가간 수출·수입 등 무역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킴벌리 프로세스 인증서를 동봉해야 하며 이 인증서가 없을 경우 무역을 할 수 없다. 다이아몬드 원석을 생산하는 국가는 모두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전세계 다이아몬드 생산의 약 99.8%를 킴벌리프로세스가 통제하고 있다.

킴벌리프로세스는 지난해 CNK가 채굴, 수입한 다이아 원석 2140캐럿의 가치평가액을 44만6114달러(한화4억6000만원)로 책정했다.

검찰이 이에 대해 “수입 물량이 적고 경제성 있는 다이아몬드의 생산이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검찰의 주장은 원석 그대로일 경우다. 통상 원석이 나석으로 가공되면 원석 가치의 수십배를 능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CNK가 생산한 다이아의 상품가치가 떨어진다”고 주장했지만 킴벌리프로세스 통계 사이트(www.kimberleyprocessstatistics.org)에서 확인한 카메룬 생산 다이아의 품질은 다이아 생산국 22개 국가 중 상위권에 속했다. 지난해 CNK가 반입한 원석은 평균 보석용 다이아몬드 원석이 60%내외로 비교적 우수한 등급이었다. 

▲CNK 오경욱 가공사업본부 이사가 다이아몬드 가공 공정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도기천 기자)

“상품화되어 판매된 다이아몬드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검찰의 주장에도 의문이 간다. CNB뉴스 취재진이 확인한 결과, 나석으로 가공된 다이아몬드는 ‘OVOCO’와 ‘Diks Diamond’라는 브랜드로 CNK의 직영판매점에서 팔리고 있었다.

CNK는 서울 성북동에 위치한 회사 소유의 ‘갤러리 OVOCO’를 비롯, 현대백화점 목동점, 신촌점, 킨텍스점, 울산점 등 총5개 OVOCO 매장을 두고 있다. 또 전 세계 다이아몬드 원석의 80% 이상이 거래되고 있는 벨기에 안트워프에 해외영업망을 구축하고 있다.

檢 무리한 기소?…생산량 ‘미지수’

그렇다면 다이아몬드의 현지 생산량은 어느 정도 일까?

CNK 측은 조만간 카메룬 현지에 대량채굴 체제가 갖춰질 것으로 내다봤다. CNK 오재민 본부장은 “카메룬 현지 법인의 스파기아리(남아프리카공화국 지질학자) 부사장을 중심으로  채굴장비를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있다”며 “새 장비의 시험가동 결과가 성공적이면 본격적으로 장비 도입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아직 정확한 생산량 추정치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다이아 매장 예상 지역이 236제곱킬로미터(km2)로 워낙 방대한데다, 중국 기업이 합작투자를 한 상황이라 사업계획을 다시 수립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6월 중국 대기업인 타이푸 전기그룹은 다이아 개발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CNK와 5000만 달러(한화 540억원) 규모의 합작 투자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CNK 관계자는 “CNK와 중국 합작파트너 사이에 사업계획 및 인력 채용 등에 대해 협의하고 있는 단계”라며 “조만간 장비·인력운용, 유통과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간 생산목표치를 내놓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카메룬 현지에서 다이아몬드가 채굴돼 국내로 반입, 가공판매 됐다는 점에서 사실상 다이아몬드 개발의 실체가 드러났다. 하지만 매장량과 생산목표치, 상품가치 등을 둘러싼 논란은 재판과정에서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다이아몬드 국제인증제도인 ‘킴벌리프로세스(Kimberley Process)’의 인증서. (사진=도기천 기자)

오덕균 대표가 현지 개발지분을 중국법인에 넘긴 과정, 내부정보를 활용해 주가를 인위적으로 띄운 혐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국회에서의 위증 여부 등에 대해서도 치열한 법정 공방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가운데 오 대표의 재판과는 별개로 다이아몬드 개발국의 지위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정부차원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여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이번 사건이 애초부터 정권게이트로 비화되면서 정치권이 눈치를 보는 바람에 자원개발이라는 국가적 이익이 방기돼 왔다”며 “세계에서 몇 안되는 다이아생산국이라는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CNK 김진식 전무(대표권한대행)는 “카메룬 현지 광산을 오가는 80km의 도로를 놓는 데만 꼬박 3년이 걸렸다”며 “피땀의 결과로 가져온 다이아 개발권이 사장되지 않도록 정부·언론이 나서서 도와 달라”고 호소했다.

(CNB=도기천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