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단독]손놓은 서울시…'상암DMC 랜드마크 사업' 첩첩산중

시는 공급기준 원점서 재검토…서울 마지막 노른자위 개발 10년간 표류

  •  

cnbnews 정의식기자 |  2014.10.14 17:42:59

▲상암DMC 랜드마크 빌딩 예상도(사진: 서울시)

서울 강남의 마지막 금싸라기땅으로 불렸던 삼성동 한전 부지가 10조5500억원에 현대자동차그룹으로 넘어간 뒤, 재계의 시선이 ‘상암DMC 랜드마크 빌딩 용지’에 쏠리고 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의 좌초와 삼성동 한전 부지의 매각으로 이제 상암동 랜드마크 빌딩 부지가 서울의 마지막 노른자위가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CNB 취재결과 이 부지의 개발은 요원한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속사정을 CNB가 들여다봤다. (CNB=정의식 기자) 

랜드마크 사업, 아직도 미정
市·개발업체 진흙탕 소송 중
주민들 “누군가 책임져라” 분통

상암DMC 랜드마크 빌딩 사업은 10여 년 전부터 시작됐지만 여지껏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연내에 서울시가 재차 용지 공급 공고를 낼 것라는 관측이 있었지만, CNB 확인 결과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상암DMC의 한복판, 월드컵 공원과 맞닿는 F블럭에 위치한 약 3만7274㎡ 규모의 랜드마크 빌딩 용지는 이 지역의 개발 초기 때부터 이곳을 상징하는 초고층 랜드마크 빌딩이 들어서기로 예정된 자리였다.

서울시는 2004년 첫 용지 공급 공고를 냈지만, 사업자를 선정하지 못했다. 이후 오세훈 시장 재임 시절인 2008년 대우건설을 주축으로 한 ‘서울라이트타워 컨소시엄’이 133층 빌딩을 지을 사업자로 선정되고, 2009년 토지대금 3600억원 규모의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총 사업비는 3조7000억원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서울라이트 사업은 뒤따른 금융위기와 부동산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좌초하게 된다. 당시 사업자는 두 번에 걸친 건축규모 축소와 지정용도 수정을 포함한 사업계획 변경 안을 제출했지만 서울시는 ‘사업목적에 맞지 않는 계획’이라며 ‘수용불가’를 통보했다. 결국 사업자의 토지대금 1122억원 연체 등의 사유로 2012년 6월초 매매계약이 해제됐고, 사업자와 서울시는 현재까지 관련 소송을 진행중이다.

▲상암DMC 입주 현황. 중앙 하단의 붉은 영역이 랜드마크 빌딩 예정지인 F블럭이다(사진: 서울시)

市 “용지 공급 공고, 연내 어렵다”

서울라이트 사업이 무산된 2012년 6월말 서울시는 용지 재공급을 포함한 잔여용지 공급에 관하여 재검토계획을 수립했고, 8월에는 용지 재공급을 위한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올해 4월경에는 “연내에 용지 공급 공고를 내겠다”는 방침이 몇몇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하지만, CNB가 확인해본 결과 서울시는 여전히 용지 공급 공고를 낼 준비가 되어있지 않았고, 구체적인 방향성도 확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CNB와 통화한 서울시 관계자는 상암 DMC 랜드마크 빌딩 용지 매각 공고 일정에 대해 “아직 일정이 정리되지 않았다”며 “좀더 의견 수렴을 해서 방향을 결정할 방침으로, 금년 중에는 공고가 나기 어렵고, 내년 중에나 가능할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정이 늦어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상태이고, 랜드마크 빌딩 사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아직 정리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측은 랜드마크 빌딩의 건립이 더 이상 지체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상암DMC 단지가 숙박시설과 전시장, 문화시설 등 도시 인프라와 기업지원시설이 충분치 못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하늘에서 본 상암DMC 랜드마크 빌딩 용지(사진: 서울시)

“사업성 여전, 한전부지 1/30 가격 강점”

오경환 서울시의회 의원(새정치민주연합·마포4)도 CNB에 비슷한 입장을 설명해줬다. 오 시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대내외적 조건이 악화된 이유로 원래 계획했던 100층 이상 초고층 빌딩 건설은 포기한 상태다.

‘100층 이상’ 혹은 ‘100층이 아니더라도 서울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건물’ 수준으로 용도 제한을 완화하겠다는 것이 서울시의 입장이라는 것이다.

오 의원은 “건물의 사업성을 강화하기 위해 시가 용도를 지정하지 않고, 사업주체가 정할 수 있게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며 “당초 사업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경제여건을 반영하여 공급 기준을 일부 완화하거나 조정하여 공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랜드마크 빌딩 건설의 사업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충분하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오 의원은 랜드마크 용지의 경쟁력에 대해 “지난 2008년 공고에서 용지 대금이 3600억원에 불과했는데, 이는 최근 한전부지 계약금액 10조5000억원에 비하면 1/30 수준이다. 초고층 빌딩을 건설할 용지 비용으로는 저렴한 가격이 아닐 수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현재 서울 시내에서 100층 이상 초고층 개발이 가능한 부지는 삼성동 한전 부지와 상암DMC 랜드마크 빌딩 용지, 용산국제업무지구, 창동 차량기지 등 네 곳에 불과하다. 하지만 삼성동 한전 부지는 현대차그룹이 초고층 빌딩 건설을 예고하고 있고, 용산국제업무지구는 개발계획이 무산됐으며, 창동 차량기지는 도심에서 다소 떨어진 거리에 있다.

도심은 물론 공항과도 가까운 입지와 잘 정비된 주변 환경을 갖춘 상암DMC 랜드마크 빌딩 용지는 ‘서울의 마지막 남은 금싸라기 땅’이라 불리기에 부족함이 없다는 것이 부동산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상암동에 34년간 거주해온 한 주민은 “그 곳(랜드마크 부지)을 터전으로 삼아 수십년간 살아온 원주민들을 하루 아침에 내쫒은 지가 10년이 넘는데, 아직도 그 자리는 여전히 공터로 남아 있다”며 “개발논리만 앞세우다 주민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간 만큼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CNB=정의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