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지지율 하락, 대권주자도 없고… 새누리 이중고 언제까지

지지율 반등 계기 없어, 당청 적극 소통 필요

  •  

cnbnews 최정숙기자 |  2015.02.21 17:10:42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유승민 원내대표.(사진=연합뉴스)

새누리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지만 이를 반등시킬 계기가 마땅히 없기 때문이다.

설 연휴 기간 동안 밥상머리 민심을 잡기 위해 유승민 원내대표가 당 정책위에 ‘저가 담배’를 검토할 것을 지시했다고 알려졌지만 지지율을 상승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이 뿐 아니라 뚜렷한 차기 대권주자가 없다는 것도 또 다른 고민거리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설 연휴 직전인 지난 16~17일 2월 3주차 주간집계 결과, 새누리당은 1주일 전 대비 2.6%p 하락한 34.7%를 기록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2.0%p 상승한 33.8%를 나타냈다. 양당 격차는 0.9%p다.

새정치연합 지지율이 상승한 데는 현 정부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히는 총리 지명 후폭풍으로 인한 결과라고 리얼미터는 분석했다.

여야 차기대선 지지도에서는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의 지지율이 27.5%로 최고치를 갱신하면서 7주 연속 선두를 이어갔다. 박원순 시장은 11.2%로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9.0%), 4위는 새정치연합 안철수 전 대표(8.2%), 5위는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6.1%), 6위는 새누리당 김문수 보수혁신위원장(6.0%), 7위는 이완구 국무총리(5.7%), 8위 안희정 지사(4.6%), 9위 홍준표 경남지사(4.1%), 10위 남경필 경기지사(2.3%) 순이다.

차기대선 지지도에서 김무성 대표가 3위를 기록하기는 했지만 한 자릿수에 그쳤다. 야권 대선주자로 꼽히는 문재인 대표와 박원순 시장이 모두 두 자릿수라는 점을 볼 때 새누리당에는 차기 대선에 나설 만한 막강한 주자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10위까지 오른 대선주자 지지도에서 야권주자들은 4명이지만 지지율을 합치면 51.5%고, 여권주자들은 6명을 합쳐도 27.1%밖에 되지 않는다.

여권 차기주자 부문에서도 김무성 대표는 13.6%에 머물러 있다. 김문수 위원장은 9.1%, 이완구 총리는 8.1%, 정몽준 전 대표는 6.5%, 홍준표 지사는 5.0%, 유승민 원내대표는 4.6%, 남경필 지사는 3.4%, 원희룡 제주지사는 2.7%를 각각 기록했다.

이번 주간집계는 16일부터 17일까지 2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RDD 방법으로 조사했다. 응답률은 전화면접 방식은 16.3%, 자동응답 방식은 7.6%였다. 통계보정은 행정자치부 국가인구통계 기준 성, 연령, 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이다. 자세한 주간집계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참조.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대표 안일원)의 조사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야권에 비해 여권 대선 주자의 지지율이 한참 낮다는 결과는 같다. 

설 연휴 직전인 17일 차기 대권주자 적합도 등에 대한 실시간 공개조사 실시 결과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28.1%의 지지를 얻어 17.9%를 얻은 박원순 서울시장과 17.0%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를 10%p 이상 격차를 보였다. 

또한 김무성ㆍ문재인 양자대결에서는 문재인 대표가 52.0%의 지지를 얻어 35.9%의 김무성 대표를 16.1%p 앞섰고, 김무성ㆍ박원순 양자대결에서도 박원순 시장이 50.8%로 36.3%의 김무성 대표를 14.5%p 앞서 야권 강세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기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김무성ㆍ김문수ㆍ문재인ㆍ박원순ㆍ안철수ㆍ오세훈(성명순) 여섯 사람 중에서 차기 대통령감으로 가장 적합한 사람은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문재인 대표는 28.1% 지지를 얻었다. 박원순 시장은 17.9%, 김무성 대표는 17.0%였다. 뒤이어 안철수 전 대표 9.2%, 김문수 위원장 8.1%, 오세훈 전 서울시장 7.7% 순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설 연휴를 하루 앞둔 17일 리서치뷰가 인터넷방송 팩트TV와 함께 전국 만19세 이상 휴대전화가입자 1천명을 대상으로 컴퓨터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 임의전화걸기(RDD)로 진행했다. 표본은 1월말 현재 국가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비례할당 후 무작위 추출했고,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p다.

새누리당의 경우 지난 대선 때 박근혜 대통령이 당선될 수 있었던 요인 중 하나가 이명박 전 대통령과 경쟁 관계라는 인식이 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박 대통령은 이 전 대통령과 세종시 등 각종 현안에서 대립각을 세웠고 ‘여당 내 야당’ 소리까지 들었다. 막강한 리더십을 내세우며 견고한 지지율을 자랑했지만 현재 새누리당 내에는 그런 인물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2인자를 두지 않고 모든 사안을 손수 챙기는 박 대통령의 만기친람식 스타일도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유승민 원내대표가 새 지도부로 선출된 직후 김무성 대표와 함께 ‘증세 없는 복지’에 제동을 걸며 청와대와 정부의 정책 혼선을 적극 비판하는 듯 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당 대표에 선출되자마자 박 대통령을 향해 전면전을 선포하면서 이 또한 잠시 소강상태다.

결국 새누리당이 지지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애초에 청와대와 정부가 설익은 정책을 발표하기 전, 당청간 적극적인 소통으로 더 이상의 여론 악화를 만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근혜정부가 아직 괄목할 만한 성과가 없고, 이제 집권3년차인 만큼 올해까지는 정부 정책을 적극 뒷받침해야 한다는 얘기도 들린다. 아울러 야당보다 더 야당 같은 적극성으로 정책 이슈를 선점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