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단통법 9개월 희비쌍곡선…삼성·LG전자 ‘울고’ 애플만 ‘웃음’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단통법 시행 후 ‘반 토막’

  •  

cnbnews 정의식기자 |  2015.07.03 15:15:46

▲삼성전자의 갤럭시 S6을 판매중인 휴대폰 대리점(사진: 연합뉴스)

지난해 10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시행된 이후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연간 1200만대에 달하던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단통법 시행 이후 연간 600만대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전체 휴대전화 시장에서 프리미엄 폰이 차지하는 비중도 단통법 이전 70% 수준에서 올해는 30~40%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이동통신사와 제조사들은 프리미엄폰 시장 규모가 급감한 가장 큰 원인으로 ‘단통법 시행’을 꼽았다. 소비자들이 그간 고가의 스마트폰을 살 수 있도록 이동통신사와 제조사가 제공하던 보조금을 정부가 제한하자, 프리미엄폰 시장이 자연스럽게 죽었다는 지적이다.

▲단통법 시행 이후 국내 점유율이 높아진 애플의 아이폰6(사진: 연합뉴스)

문제는 단통법의 직격탄을 국내 제조사만 맞았다는 점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판매량이 급락하고, 3위 제조사였던 팬택은 아예 문을 닫게 됐다. 반면, 애플은 단통법의 수혜자가 됐다.

보조금이 줄어들면서 어차피 비싸게 살 거라면 국내 스마트폰 대신 아이폰을 써보자는 소비자 심리가 발동했기 때문이다. 애플은 작년 말 한국 시장 진출 이후 처음으로 점유율을 30%까지 끌어올리며 ‘단통법 특수’를 누렸다. 이 때문에 LG전자는 최근 국회에서 열린 단통법 개정안 관련 논의 때 “보조금 상한제를 폐지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이 상태가 지속되다간 아예 시장이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었다.

단통법은 제조사별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지형도 뒤바꿔 놓은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한 달간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약 60%를 기록했다. 한때 70%에 육박하던 삼성의 점유율은 단통법 시행 초기 50% 초반까지 빠진 바 있다.반면 점유율이 10%가 채 안 되던 애플은 신제품 아이폰6의 인기에 단통법 후광마저 입으면서 판매량이 가장 떨어지는 2분기에도 20%에 가까운 점유율을 유지했다. 10% 후반에 머무르던 LG전자는 G4 출시 효과로 점유율을 20% 중반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점유율이 상승했음에도 전체 판매량은 오히려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올해 출시되어 시장 점유율은 올랐으나 전체 판매량은 전작 G3보다 줄어든 LG전자의 G4(사진: 연합뉴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날 이동통신사들로부터 집계한 국내 스마트폰 점유율을 공개하면서 애플의 점유율이 아이폰6 출시 이후 급상승하기는 했으나 최근 다시 예전 수준(13.1%)으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또, 아이폰의 인기가 식으면서 삼성전자(63.4%)와 LG전자(20.9%)의 점유율이 다시 아이폰6 출시 이전으로 돌아왔다고 설명했다.

미래부가 단말기 제조사별 시장 점유율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분리요금제가 아이폰 판매량만 늘렸다’라는 언론 보도에 해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는데, 업계에서 영업 비밀로 간주되던 자료를 공개한 것이라 논란이 예상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