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형준 부산시장이 시민들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 악취 없는 글로벌 허브 도시로 거듭나기 위해 하수구 악취 전수조사와 악취지도 작성, 우선 준설 작업을 실시한다고 12일 밝혔다.
부산시는 2020년 ‘생활악취 저감 및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이후, 악취 배출 시설 외에도 하천과 하수관로 등 공공수역과 민원 다발 지역을 대상으로 생활악취 실태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지난해 부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덕천천과 대리천 하류지점, 서면과 광안역 인근, 해운대 해수욕장, 해리단길 하수관로 등에서 복합악취 수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황화수소까지 검출됐다.
부산시는 최근 3년간 생활악취 관련 민원이 연간 1200~1300건 접수됐으며, 이 중 하수구 악취가 전체 민원의 22.5%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악취 민원은 주로 합류식 하수관로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하수관로 내 퇴적물 부패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그동안 예산 부족으로 인해 하수관로 준설 작업은 주로 침수 예방과 수질 개선이 시급한 지역을 우선으로 진행됐고, 즉시 준설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탈취제 살포로 악취를 완화해왔다.
그러나 부산시는 지난해 악취 실태조사에서 악취가 심각하게 나타난 지역을 중심으로 총 10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우선적으로 하수관로 준설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오는 2월부터 3월까지 광안역, 서면, 해운대 해수욕장, 해리단길 등 8개 지역의 하수관로를 집중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기존에는 침수 위험이 있는 지역을 우선적으로 준설했으나, 이번에는 악취가 심한 지역까지 포함해 악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부산시는 올해 3월부터 합류식 하수관로 350곳을 대상으로 악취 전수조사를 실시해 악취 농도가 높은 지역을 정밀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악취지도를 작성할 계획이다. 조사는 3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며, 악취 민원이 빈번한 지역과 측구 주변 지역에서 황화수소 농도를 24시간 연속 측정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이를 통해 악취 발생 지역을 정확히 분석하고, 우선적으로 준설이 필요한 지역을 선정할 예정이다.
한편, 부산시는 올해 총 1093억 원을 투입해 56km 구간의 분류식 하수관로를 추가로 설치한다. 분류식 하수관로는 하수와 우수를 분리해 악취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시설로, 부산시는 1990년부터 2040년까지 총 3615km의 분류식 하수관로를 설치하는 대규모 사업을 추진 중이다. 올해는 송도해수욕장, 광안리해수욕장, 송정해수욕장 등을 중심으로 56km 구간에 대한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박 시장은 “부산은 국제적인 관광도시이자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고 있다”며 “악취 없는 깨끗하고 쾌적한 도시 환경을 조성해 시민들에게는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 방문객들에게는 ‘다시 찾고 싶은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