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李 대통령 국정 지지율, ‘긍정’ 61.5% vs ‘부정’ 33.0%…2주 연속 하락세

[리얼미터] TK 포함 전 지역서 ‘긍정’ 우세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5.07.29 12:01:58

(자료제공=<리얼미터>)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갑질 논란’으로 자진사퇴 했으나 소폭이나마 지지율이 2주 연속 하락하는 것은 막지 못했다. 그러나 4주 연속 60%대 지지율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의 의뢰로 지난 21~25일 닷새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508명을 대상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라는 질문에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은 전주 대비 0.7%p 하락한 61.5%(‘매우 잘함’ 50.0%, ‘잘하는 편’ 11.5%),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답변은 0.7%p 상숭한 33.0%(‘매우 잘못함’ 24.8%, ‘잘못하는 편’ 8.2%)로 나타났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일간으로는 지난 금요일(18일) 61.3%(부정 평가 33.6%)로 마감한 뒤, 주초 폭우 피해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빠른 재난 대응 조치가 있었던 22일에는 65.2%(3.9%p↑, 부정 평가 30.8%)까지 크게 상승했다.

그러나 강선우 장관 후보자의 사퇴, 연이은 인사 검증 논란 등이 집중적으로 보도된 23일에는 61.4%(3.8%p↓, 부정 평가 33.3%)로 하락했으며, 24일에는 58.9%(2.5%p↓, 부정 평가 35.1%)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25일에는 59.1%(0.2%p↑, 부정 평가 34.4%)로 소폭 반등했다.

지역별로는 대전·세종·충청(9.9%p↓), 대구·경북(3.4%p↓), 광주·전라(2.4%p↓)에서 하락했으며, 특히 인사 파동 뿐만 아니라 해수부 부산 이전으로 인해 충청권 하락폭이 10%p에 육박해 TK보다 하락폭이 더 컸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울(‘긍정’ 59.3% vs ‘부정’ 36.5%, 인천/경기(65.7% vs 29.9%), 충청(56.3% vs 36.1%), 호남(77.3% vs 20.3%), 부산/울산/경남(55.4% vs 35.8%), 대구/경북(51.4% vs 42.8%) 등 전 지역에서 긍정 답변이 과반이 넘었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5.6%p↓), 30대(5.2%p↓), 20대(2.6%p↓)에서 비교적 하락폭이 큰 가운데 30대(‘긍정’ 52.9% vs ‘부정’ 42.3%), 40대(77.7% vs 19.6%), 50대(75.8% vs 21.3%), 60대(60.0% vs 35.3%)에서는 긍정 평가가 과반이 넘었으나 70세 이상(48.6% vs 38.1%)에서는 긍정 평가가 다소 우세했고 20대(47.8% vs 46.1%)에서는 오차범위내 팽팽했다,

진영별로 살펴보면 민심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중도층에서는 긍정 평가가 0.6%p 하락한 64.6%, 부정 30.4%로 나타났으며, 보수층은 긍정 35.1% 부정 58.2, 진보층은 긍정 평가는 85.9%(1.4%p↓)로 나타나는 등 진영별로 갈겼다.

한편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의 의뢰로 지난 21~25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508명을 대상으로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해 응답률은 5.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0%p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조사개요는 <리얼미터>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NB뉴스=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