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BISTEP)이 부산 지역 해양 연구 인프라와 국가 R&D 사업 유치 실적을 분석하고 해양수산부 R&D 사업의 부산 유치를 견인해 온 BISTEP의 역할을 담은 인포그래픽 B-INFO(5호)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B-INFO는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부산의 해양수산 혁신주체(지자체·산업체·대학·연구기관 등) 인프라 현황을 점검하고 해수부 과학기술 육성 시행계획과 연계한 사업 참여 실적을 정량적으로 제시했다.
분석 결과, 부산은 2024년도 해수부 전략 사업 중 57.3%(세부사업 개수 기준)를 수행하며 해양과학기술 역량과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최근 5년간 해수부 전체 R&D 사업 예산 중 부산이 유치한 실적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4년에는 약 40%가 부산에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성과는 BISTEP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수행한 해양과학기술 관련 정책연구와 중·대형 R&D 사업 유치 노력의 결과이며, 부산 지역 내 다양한 혁신주체들의 협력이 더해져 가능했다.
현재 부산시는 해양농수산국을 중심으로 해양수산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5개 대학 41개 학과에서 매년 약 1800명의 대학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또한, 18개 유관기관, 6개 혁신지원기관, 11개 관외 기관이 부산 해양산업 생태계를 뒷받침하며 2만9922개 해양산업체와 16만 명 이상의 종사자가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BISTEP 김영부 원장은 “이번 B-INFO를 통해 부산의 해양 연구 인프라와 해양수산부 이전의 의미, 그리고 BISTEP의 역할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부산이 명실상부한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시와 긴밀히 협력해 정책 연구와 사업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