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금정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부산 시민 염원 20년 만에 결실

37년 만의 신규 지정…대한민국 최초 ‘도심형 국립공원’ 탄생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10.31 16:00:23

금정산 전경.(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31일 오후 기후에너지환경부 제1차관 주재로 열린 ‘제144차 국립공원위원회’에서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및 공원계획 결정(안)’이 최종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금정산은 대한민국 제24번째 국립공원이자, 국내 최초의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금정산국립공원의 총 면적은 66.859㎢로, 이 중 약 78%(52.136㎢)가 부산 6개 자치구에, 나머지 22%(14.723㎢)는 경남 양산시에 걸쳐 있다. 금정산뿐 아니라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백양산 일대도 공원 구역에 포함됐다. 이번 지정은 1987년 소백산 이후 37년 만에 비보호지역이 신규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사례로, 국립공원 제도 역사에서도 의미 있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기후에너지환경부의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타당성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정산은 보호지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연생태, 역사문화, 경관 등 모든 부문에서 국립공원 지정 기준을 충족했다. 멸종위기종 14종을 포함한 1782종의 야생생물, 문화자원 127점, 자연경관 71개소가 분포하고 있어 생태적·문화적 가치가 매우 높다는 분석이다. 특히 문화자원 수는 전국 국립공원 중 1위 수준이며, 연간 탐방객 312만 명으로 전국 5위에 해당한다.

금정산의 국립공원 지정 논의는 지난 2005년 시민사회에서 처음 제기된 이후 2014년 10만 명 서명운동을 거쳐 본격화됐다. 2019년 부산시가 환경부에 공식 건의하면서 추진에 속도가 붙었고, 시민사회·환경단체·종교계·전문가 등이 지속적인 공론화를 이어왔다. 특히 범어사와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 시민네트워크 등 80여 개 단체가 참여한 시민운동은 이번 결실의 밑거름이 됐다.

지난해 11월 부산시·범어사·추진본부 간의 상생발전 업무협약(MOU) 체결은 결정적 전환점이었다. 사유지 비율과 이해관계가 복잡해 수년간 답보 상태였던 논의가 종교계의 대승적 결단과 주민 협력으로 급물살을 탔다. 이후 공청회와 주민설명회 등 행정 절차를 거쳐, 마침내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공원경계.(사진=부산시 제공)

박형준 시장은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은 시민의 염원, 공공의 추진력, 지역사회의 헌신이 함께 만들어낸 부산 공동체의 승리”라며 “금정산을 통해 부산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생태도시이자 지속 가능한 녹색도시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시는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 지역사회 등과 협력해 탐방로 정비, 문화유산 복원, 생태계 보전, 주민지원사업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금정산을 부산의 새로운 도심형 생태 자산이자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립공원으로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지정으로 금정산은 ‘바다·강·산이 이어지는 부산형 생태관광의 완성’이라는 평가 속에 지역경제 활성화와 생태관광, 환경교육, 문화체험 등 다양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향후 탐방객 수는 연간 4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부산의 도시 브랜드 가치 또한 한층 높아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