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서울 역세권에 시프트 1만3천가구 추가공급

재개발ㆍ재건축 용적률 500%까지 완화…2분의1 시프트

  •  

cnbnews 온라인뉴스팀기자 |  2010.03.11 22:01:10

서울시내 역세권 주택 재개발ㆍ재건축 정비구역의 용적률이 완화돼 주변 전세 가격의 80% 수준에서 최장 20년까지 살 수 있는 장기전세주택(시프트) 약 1만3천가구가 추가로 들어설 전망이다.

서울시는 역세권의 주택 재개발ㆍ재건축 정비사업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완화해 주고 용적률 증가분의 2분의 1에 해당하는 만큼을 시프트로 공급하도록 하는 내용의 '2010 민간 시프트 공급 확대방안'을 마련해 11일 발표했다.

방안에 따르면 역 반경 250m 이내의 1차 역세권에 있는 재개발ㆍ재건축 정비구역은 용도지역을 현재 제2, 3종 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상향해 기존의 최대 300%인 용적률을 500%까지로 완화한다.

또 역에서 250~500m 이내인 2차 역세권은 제2종 일반주거지역의 경우 제3종으로 상향해 기존 최대 250%인 용적률을 300%까지 허용하는 등 용도지역과 밀도를 차등 적용한다.

서울시는 이들 지역의 용적률을 높여주는 대신 완화된 용적률의 2분의 1 이상을 시프트로 공급하도록 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그러나 난개발을 막고자 역세권이라도 전용주거지역이나 제1종 일반주거지역, 도시자연공원구역이나 자연경관지구, 최고고도지구, 전용주거지역 등과 인접한 지역, 택지개발지구나 아파트지구 등 별도의 관리계획이 수립된 구역은 원칙적으로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또 대규모 개발로 도시공간 구조가 잘못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1차 역세권의 최대 사업대상 면적을 10만㎡ 이하로 제한하기로 했다.

2차 역세권은 사업 대상이 제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한정됨에 따라 사업면적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서울시는 6월까지 도시계획조례를 개정하고 정비계획 수립 및 운영 기준을 마련해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반영하고서 이르면 7월부터 사업 추진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시내 재개발ㆍ재건축구역 18㎢ 중 약 4%인 0.8㎢ 정도가 이번 방안의 적용을 받아 시프트 1만3천가구 정도가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라 서울 시내에 공급될 전체 시프트도 SH공사 매입 2만8천500가구, 재건축 매입 1만7천500가구, 역세권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재정비촉진지구 3만3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외 2만가구, 마곡지구ㆍ위례신도시ㆍ보금자리주택 2만가구 등 총 13만2천가구로 늘어날 전망이다.

김효수 서울시 주택국장은 "입주를 원하는 많은 시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하철역에서 7분 이내 거리의 편리한 교통ㆍ생활 여건을 갖춘 역세권 지역에 시프트 보급을 최대한 늘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