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뉴스텔링] 참치잡이 쿼터 늘었지만…동원·사조산업 ‘시큰둥’ 왜?

세계 최대 참치소비국 일본, ‘셀프 어획 포기’ 내막

  •  

cnbnews 정의식기자 |  2016.07.13 08:54:27

▲하반기 참치 어획량이 크게 늘게 됐다. 일본의 쿼터 양보 덕분이다. 사진은 낚시로 잡힌 눈다랑어. (사진=인터넷)

최근 우리나라 참치잡이 한계 물량이 일본의 양보로 크게 늘었지만 속사정을 알고 보니 크게 기뻐할 일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노동강도가 높아 인력 수급이 어렵고, ‘파괴적 어업’이라는 환경단체들의 비난으로 ‘눈다랑어 연승조업’의 유지가 어려워진 일본 원양어업계가 ‘사양산업’을 우리 원양어업계로 떠넘긴 셈이기 때문. 사실상 ‘그림의 떡’이 된 어획 쿼터 확대에 얽힌 사연을 CNB가 들여다봤다. (CNB=정의식 기자)

눈다랑어 어획 쿼터 16% 증가
일본 고된 조업환경 탓에 포기
조업량 과부하 걸려 ‘그림의 떡’ 

▲IAATC가 관리하는 동부 태평양 수역의 위치. 왼쪽은 중서부 태평양 수역이다. (사진=IAATC)

올해 우리나라가 동부 태평양 해역에서 잡을 수 있는 눈다랑어 어획 쿼터가 16% 늘어났다. 

지난 3일 해수부 발표에 따르면, 동부 태평양의 참치 자원을 관리하는 전미열대참치위원회(IATTC)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제90차 회의에서 일본이 소진하지 않은 눈다랑어 어획 쿼터 중 2000톤을 우리나라에 이전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덕분에 우리나라에 배정된 어획 쿼터는 기존 1만 1947톤에서 약 2000톤(16%) 증가한 1만 3947톤이 됐다. 우리나라는 연간 어획량의 40%를 IATTC 관할 동부 태평양 수역에서 생산하고 있는데, 지난해 어획량은 1만 107톤이었다.

눈다랑어는 흔히 ‘참치’로 분류되는 8종의 다랑어(남방참다랑어, 날개다랑어, 눈다랑어, 대서양참다랑어, 참다랑어, 황다랑어, 검정지느러미다랑어, 백다랑어)에 속한 고급 어종이다. 

▲(출처=그린피스 보고서)


일본, 조업 힘들자 ‘셀프 반납’ 

문제는 눈다랑어가 멸종 위기에 처했다는 점. 남방참다랑어, 날개다랑어, 눈다랑어, 대서양 참다랑어, 황다랑어 등 5종의 참치는 지나친 남획으로 인해 세계자연보전연맹이 지정한 ‘멸종 위기·취약종’이다.

이들을 멸종 상태에 이르게 한 주범은 전 세계의 참치 어족자원을 싹쓸이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참치소비국 일본이다. 

그런 일본이 눈다랑어 어획 쿼터를 스스로 포기한 이유는 뭘까? 

이는 지나친 노동강도로 인해 ‘연승어업’의 인력 수급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최현호 해수부 원양산업과장은 12일 CNB와 통화에서 “일본은 과거부터 동부 태평양 해역에서 많은 어획 쿼터를 가지고 있었는데, 연승어업의 난이도가 높다보니 매년 쿼터를 소진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였다”며 “그런 상황에서 이번에 관계국 담당자들의 물밑 공조를 통해 쿼터 이전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승어업이 어떤 방식이기에 확보된 어획 쿼터마저 포기한 걸까. 

참치잡이 조업어선은 주로 ‘선망어선’과 ‘연승어선’으로 나뉜다. 

선망어선은 거대한 그물과 ‘집어장치(Fish Aggregating Device; FAD)’라 불리는 장치를 이용해 엄청난 물량의 물고기를 한꺼번에 잡는다. 연승어선은 최대 150km에 달하는 거대한 긴 줄에 낚싯바늘이 달린 모릿줄 3000여 개를 매달고, 낚시바늘에 미끼를 달아 물고기를 살아있는 그대로 낚는다. 

두 어선 모두 참치 외 어종까지 무차별 ‘혼획’하는 대표적인 ‘해양생태계 파괴자’들이다.

특히 연승어선의 경우, 지난 2013년 그린피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매년 30만 마리의 바다거북과 16만 마리의 바닷새, 수백만 마리에 이르는 상어들을 혼획으로 살해하고 있다. 

연승어선은 선원들의 근무환경이 열악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선원들은 몇 달 또는 몇 년 동안 바다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심각한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으로 인해 다양한 인권유린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연승어선의 조업이 힘들다보니 우리 원양업계는 선원의 상당 부분을 외국인으로 채워 해결하고 있다.

실제로 국내 동원산업, 사조산업, 신라교역 등 수산기업들이 고용한 선원 중 외국인 비율은 무려 36%에 달한다. 이들은 국내 선원에 비해 여러모로 불평등한 처우를 받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발간한 ‘2014년 선원통계 연보’에 따르면, 2014년도 내국인 선원의 월 평균 임금은 433만 5000원이었지만, 외국인 선원의 임금은 1/4 수준인 111만 2000원에 불과했다. 

▲열악한 조업환경에서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연승어선 선원들. (사진=그린피스)

원양업계, 소 닭 보듯

결국 일본이 조업여건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포기한 어획 쿼터를 우리가 가져온 셈이다. 

해수부 측은 이번에 추가 확보한 눈다랑어 어획 쿼터가 최근 생산량 감소, 어가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원양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정작 참치업계는 시큰둥한 표정이다.  

동원산업 관계자는 12일 CNB와 통화에서 “당사는 동부 태평양이 아닌 중서부 태평양에서 눈다랑어가 아닌 가다랑어 위주의 조업을 하고 있어, 이번 추가 어획 쿼터와는 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사조산업 관계자도 “해수부 측의 설명회에 참석했지만, 이미 어획량 계획이 연말까지 확정되어 있어서 추가 쿼터를 소진할 여력이 없다”고 설명했다.

어쨌든 이번에 가져온 어획 쿼터는 하반기에 그간의 어획 실적과 쿼터 소진율 등을 감안해 원양업계에 배분된다. 

경양수산, 대해수산, 동원산업, 동원수산, 사조산업, 사조씨푸드, 사조오양, 사조대림, 신라교역, 3T오션, 아그네스수산, 한성기업 등 그간 동부 태평양 해역에서 조업해온 12개 회사, 62척의 어선 중 희망하는 업체들 위주로 배분될 예정이다.

▲일본인들은 여전히 전 세계의 참치를 빨아들이고 있다. 도쿄의 한 어시장에 즐비하게 늘어선 참치들. (사진=타임즈)

“추가 어획분 대부분 일본 수출”

한편, 이번 어획 쿼터 확보 소식과 관련해 소비자들은 “일본인들이 방사능에 오염된 참치를 안먹어서 우리에게 순번이 넘어온 것 아니냐” “국내 공급 물량이 확대되어 비싼 횟감 참치 가격이 저렴해지는 것 아니냐” 등 우려와 기대가 엇갈리고 있다. 

이에 대해 최 원양산업과장은 “참치에 대한 일본의 수요는 여전히 높다. 최근 제주도 인근에서 잡힌 참다랑어를 전량 일본이 수입한 것이 그 대표적 사례”라며 “이 참다랑어들은 멀리 동태평양도 아닌 일본 근해와 제주도 인근을 오가며 자랐는데, 일본인들이 방사능을 두려워했다면 이를 수입했겠나”라고 되물었다. 이어 “이번 추가 쿼터로 잡은 참치도 대부분 일본으로 수출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행여 국내 공급물량이 확대되거나, 이로 인해 국내 참치 가격이 저렴해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얘기다. 이래저래 눈다랑어 어획 쿼터 확보가 기쁘지만은 않은 일이 됐다.   

(CNB=정의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