黨 대표 후보들처럼 최고위원 후보들도 탄핵·계엄 공방
‘극우 세력이 당 고립’ vs ‘내부총질’… ‘계몽령’ 공방전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에 출마한 최고위원 후보들도 당 대표 후보들처럼 ‘여당의 계엄·탄핵 프레임에 휘말려 내부 분열을 일으켜선 안 된다’는 주장과 ‘당내 극우적 움직임에는 선을 그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맞붙은 양상으로 양분되면서 열띤 공방을 벌였다.
강서구 아싸아트홀에서 18일 열린 방송토론회는 8명의 후보가 ‘가’조(김재원·신동욱·양향자·최수진)와 ‘나’조(김근식·김민수·김태우·손범규)로 나뉘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탄핵 등을 놓고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우선 ‘가’조의 ‘반탄파’인 김 후보는 “이재명 정권이 우리 당을 해체하려는 상황에서 특검 수사 협조는 이적 행위로서 이런 행위를 하는 분을 가차 없이 제재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어 신 후보는 “민주당 얘기를 가져와서 정리해야 내부 통합할 수 있다는 주장을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고 최 후보는 “더는 찬탄·반탄 이슈가 우리 당을 삼키지 않도록 하겠다. 내부 총질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찬탄파’인 양 후보는 “극우 극단주의가 당을 고립시키고 있고, ‘윤어게인’을 외치는 분들이 불법 계엄을 옹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경계하자 김 후보는 “우리 당에 계엄을 옹호하는 세력이 누가 있는가. 허위 사실 공표로 없는 사실을 얘기하는 사람들을 쫓아내야 한다”고 맞받았다.
그리고 최 후보는 “전한길씨의 (전당대회 당시 연설방해) 행동은 맞지 않지만, 우리 당을 위하는 전씨의 마음은 높게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신 후보는 양 후보가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선포 책임을 묻자 “계엄을 가지고 계속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 계엄에 이르게 된 배경에는 민주당이 처리한 줄탄핵, 줄특검 등도 있다. 동시에 얘기해야 합당하다”고 답하기도 했다.
이어 벌어진 ‘나’조 토론에서 김민수 후보는 “탄핵 소추가 되지 않았다면 대통령이 탄핵 심판대에 올라갈 일도, 탄핵당할 일도 없었다”고 주장했으며, 김태우 후보는 “김근식 후보가 민주당으로 간 김상욱 의원과 같은 탄핵 찬성 목소리를 냈는데 공식 사과나 비판한 기억이 없다”고 공격했으며, 손 후보는 “내부 총질, 계파 갈등에 앞장서 온 것이 아닌가”라고 ‘찬탄파’ 김근식 후보를 향해 공세를 퍼부었다.
이에 김근식 후보는 “찬탄파, 반탄파가 싸우는 게 아니라 계엄을 옹호하느냐, 반대하느냐의 정리가 필요하다”며 “일부 후보가 계엄을 옹호하고 ‘윤어게인’을 외치는 분들의 표를 얻기 위해 비위를 맞추고 있지 않는가?”라고 반박했다.
한편 이날 방송토론에서 청년최고위원 경선에 출마한 우재준 후보와 손수조 후보는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12·3 비상계엄을 ‘계몽령’이라고 부르는 것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먼저 손 후보는 “계엄을 옹호하는 목소리가 우리 당에 어디 있나?”라고 질문하자 우 후보는 “‘계몽령’이라는 말이 계엄 옹호에 가까운 말”이라면서 “‘계몽령’이라는 것 자체가 계엄의 긍정적 효과를 굉장히 강조한 표현”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우 후보는 “계엄은 분명한 윤 전 대통령의 잘못이고, 계엄을 옹호하는 생각과 같이 가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자 손 후보는 “‘계몽령’은 민주당의 탄압 속에 그렇게(계엄) 할 수밖에 없던 상황에 대해 우리가 깨우쳤다는 말이지, 절대 옹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아울러 순 후보는 “특히 ‘계몽령’을 외치는 분들을 극우라는 프레임으로, 민주당이 원하는 프레임으로 묶어두고 당에서 척결 대상으로 보는 게 굉장히 우려스럽다”고 거듭 반박하자 우 후보는 “상식적인 생각에서 적어도 계엄을 옹호하지 않아야 한다”고 재강조햇으며, 이에 손 후보는 “지금 민주당 의원하고 토론하는 것 같다”고 되받아치는 등 열띤 공방전을 벌였다.
특히 두 후보는 현역 국회의원이 청년최고위원을 맡는 것을 두고도 대구 북구갑 초선 의원인 우 후보가 “민주당 청년위원장이 현역의원인데 우리는 현역의원이 하면 안 된다고 하는 것은 민주당과 체급을 너무 못 맞추는 것”이라고 주장하자 손 후보는 “민주당 좋으면 민주당 가세요. 토론은 제가 더 잘하고 잘 싸우는 것 같은데 원내라서 잘한다는 그 자신감은 어디에서 나오나”라고 반박했다.
당초 청년최고위원 경선에는 4명의 후보가 출마했으나 ‘반탄파’ 박홍준 후보는 손 후보를, ‘찬탄파’ 최우성 후보는 우 후보를 각각 지지하며 전날 사퇴해 2파전이 됐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