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 이어 KT까지 모바일인터넷전화(mVOIP)를 제한다고 발표한지 며칠이 채 지나지 않아 새로운 대체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해 화제다.
mVOIP는 모바일 VOIP를 나타내는 용어로 기존 전화선 통화 방식을 인터넷선 방식으로 전환한 서비스를 말한다. 쉽게 설명해 기존 비싼 전화망을 사용하지 않고도 무료 전화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바로 mVOIP인 것이다. mVOIP를 활용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스카이프와 바이버, 프링 등이 대표적이다. KT와 SK의 mVOIP 제한정책이 표면화 됨에 따라 스카이프, 바이버, 프링 등의 사용자들은 더 이상 무료 전화를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없어진 것이다.
그러나 KT와 SK의 스카이프, 바이버, 프링의 사용제한과 동시에 대체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OTO가 새로운 무료전화 서비스로 주목을 끌고 있다. OTO는 PSTN을 이용한 무료전화를 제공해 이동통신사의 제지를 전혀 받지 않기 때문이다. PSTN은 세계의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들이 얽혀있는 전화망으로 세계의 공공 IP기반 패킷 교환망인 인터넷과 방식이 매우 닮아 있다. 원래 고정 전화의 아날로그 전화망이었던 PSTN을 디지털화한 서비스가 바로 OTO라 할 수 있다.
OTO를 개발한 오픈백스 신호열 본부장은 “스카이프와 바이버 등은 와이파이 또는 3G 음성망과 국제 PSTN을 사용하고 있어 KT와 SK의 정책적 제지를 받지만 OTO는 3G 음성망과 국제 PSTN을 사용해 전화를 연결시키기 때문에 이동통신사의 제지를 전혀 받지 않는다. mVOIP서비스에 비해 자유롭게 무료 전화를 이용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하며, “이용료도 국내 통화요금을 부과할 예정이라 무료 통화 시간이 남아 있을 경우 무료 통화 시간에서 차감시켜 효율적 요금 이용이 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현재 OTO는 SK와 KT의 mVOIP 제한정책 발표와 함께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하루 1만건 이상의 다운로드 기록을 보이고 있다. 조만간 앱스토어에서도 론칭될 예정이라 아이폰 유저들도 OTO 무료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