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순 강원도지사의 대표 경제공약 중 하나인 지역화폐사업 추진을 맹성규 신임 강원도 경제부지사가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져 결과가 주목된다.
21일 도와 도의회 등의 말을 종합하면 맹성규 신임 강원경제부지사는 취임 이틀째인 지난 15일 경제진흥국 업무보고를 받았다. 이 자리에서 맹성규 부지사는 지역화폐 발행을 골자로 한 강원도 지역통화 유통사업과 관련해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사업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로 보완할 부분에 대해서는 보완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실무부서는 종이화폐와 전자식 결제수단 이외 전자화폐와 인터넷은행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도의회와 한국은행, 농협 등 금융권들이 사업성공에 회의적이라는 점은 부담이 되고 있다. 도의회를 비롯한 내외부 각 기관들이 반대하는 사업을 도지사 공약이라는 점을 내세워 추진할 경우 역풍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정책실명제가 실시되는 상황에서 사업이 실패할 경우 책임을 져야만 하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도 실무진들의 고민을 깊게 하고 있다.
지역통화는 도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임의로 설계된 화폐로, 지역에서 생산된 부가가치의 외부 유출을 막고 지역 내 자원순환을 도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자는 취지다.
도 관계자는 이와 관련 "지역화폐 발행은 120억원 넘게 소요되는 통화 유통 시스템 구축비와 운용비 10억원 등이 투자되는 사업"이라며 "사업추진을 위한 예산이 1억원에 불과해 어려움은 있지만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문순 도지사는 이날 집무실에서 CNB뉴스와 인터뷰를 갖고 "지역화폐는 일종의 재래시장상품권과 같은 것"이라며 "지역화폐 사업은 계속 추진할 것"이라고 입장을 분명히했다.
이날 강원도의회 제247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김기홍 도의원은 "지역화폐의 장점을 살리려면 중앙통화와의 환전이 불편해 돈이 돌게 해야 하는데 오히려 이는 강원화폐를 사용처, 구매물품 제한에 환전조차 어려운 상품권처럼 느껴지게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실패하면 강원화폐과잉 혹은 화폐가뭄이 생겨 인플레와 디플레가 유발되고 끝내 중앙통화와의 환율 즉, 가치유지 실패로 강원경제 전반에 대재앙이 일어날 수 있다"며 사업중단을 요구했다.
한편 강원도는 연간 4조원에 달하는 지역자금의 역외유출현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지역사회 안에 튼튼하게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에 의뢰해 강원도 지역통화 유통 방안 조사 연구를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