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남경필 경기도지사, 13일 오전 지진발생 긴급점검회의 소집

지진 불안 해소 위한 다양한 지진방재 개선대책 마련 지시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6.09.13 12:31:09

▲13일 오전 경기도청 신관2층 상황실에서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지진 발생 관련 경기도 긴급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경주 지진과 관련해 한반도 어느 곳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생각으로 지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13일 오전 9시 30분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지진발생 긴급점검회의를 열고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 발생으로 경기지역 주민들도 곳곳에서 건물이 흔들리는 진동을 느꼈다. 이제 한반도 어느 곳도 지진 안전지대라고 볼 수 없게 됐다”면서 “도민의 혼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재난안전본부를 중심으로 대응에 만전을 기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회의에는 이재율 행정1부지사와 강태석 경기도재난안전본부장 등 도 주요 실·국장 17명이 참석했다. 남 지사는 강태석 재난안전본부장으로부터 경기도내 지진피해상황을 확인하고 향후 지진 관련 대응 방향과 추가적인 피해에 대한 대책 등을 당부했다.

남 지사는 “공공과 민간 시설물의 내진대책이 필요하다”며 “신규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기존 건축물에 대해서도 내진보강 유도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경기도내 교량과 터널, 수도, 병원 등 공공시설물은 모두 5402개로 이 가운데 내진확보가 된 시설물은 절반 가량인 2752개소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투자 우선순위를 정해 공공시설물에 대한 내진보강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진대응체계 강화와 관련해 도는 올해 말까지 도내 1236개소에 달하는 지진대피시설을 일제 점검하고 년 2회 실시하는 유관기관 합동훈련을 년 4회로 확대 실시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남 지사는 또 "시군에서 관리하는 교량가운데 내진보강이 돼있지 않은 161개 교량에 대한 보강공사 조기추진이 필요하다"는 홍지선 건설국장의 건의에 대해 예산 계획을 편성하라고 지시했다. 경기도는 오는 2020년까지 도비 137억 원과 시·군비 320억 원을 들여 161개 교량에 대해 내진보강 공사를 추진중이다.

앞서 지난 12일 저녁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경기도에서는 화성시 향남읍 남부종합사회복지관 현관문 유리가 파손된 것 외에 별다른 피해상황은 신고 되지 않았다. 이날 저녁 경기도재난안전본부에는 3732건의 신고전화가 폭주하기도 했다.

경기도는 지난 12일 저녁 9시 비상2단계를 발령하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하는 등 비상근무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경기도가 당초 내년 5월까지 구축계획이었던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2개월 앞당겨 3월말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 내년 3월까지 3억 20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재난안전본부와 도내 17개 소방서에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도입한다.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기상청에서 전송한 지진정보를 관공서나 학교 등 공공시설 내에 설치한 지진경보장치로 전달해 지진규모별 행동요령을  자동으로 방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다.

김정훈 경기도 재난안전본부 안전관리실장은 “기상청이 현재 경보발령에만 50초가 소요되는 지진조기경보체계를 오는 2020년까지 10초 이내로 줄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며 “지진파의 특성을 고려하면 200km 거리에 피해 지역이 위치할 경우 10초 이내에 지진 정보를 하면 최소 25초 이상의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경기도도 기상청과 연계해 초기경보시스템을 구축, 인명피해를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CNB=이병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