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경기도의회)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와 경제과학기술위원회 더민주 의원을 주축으로 17일 오후 경기교총웨딩홀 2층에서 연정2기 정책과제 청년구직지원금제 정책추진을 위한 정책방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미래 인적자원인 청년 취업역량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한 김준현(더민주) 경제과학기술위원회 간사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더불어민주당 박승원 대표의원은 "청년의 미래와 가계부담 해소를 위해 청년에 대한 공적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한편 "이에 대한 정책추진 방안 아이디어가 학계, 시민사회, 전문가들로부터 제시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본격적인 토론은 좌장을 맡은 정희시(더민주) 제2정책조정위원장의 진행에서 토론자로 나선 이나영 의원(더민주)은 “청년지원제도는 성남시 청년배당과 같은 기본소득 개념으로 추진돼야 하지만 경기도의 재정상황과 청년 소속 가계의 소득별․계층별 수준을 고려해 점진적이고 단계적으로 청년구직지원금제의 정책적 기반이 자리 잡아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첫번째로 사례발표를 한 서울시 청년지원활동팀장 양호경 사무관의 뒤를 이어 한국노동사회연구소 김종진 연구위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정형옥 연구위원, 경기복지시민연대 정창욱 사무국장, 가천대 경제학과 이한주 교수 등의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이번 토론과정 중 제시된 정책방향은 경기도가 청년구직지원금제를 추진할 때 정부 및 서울시와 차별화돼야 하고 바우처 방식을 고려하는 것이 긍정적이나 청년이 바우처를 사용할 경우 지역적 한계가 있을 수 있어 사용상의 불편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과 성별 고려와 기초시군 형편에 맞는 청년지원사업 검토의 다양성을 제시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