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최종환 경기도의원, "경기도 버스 10대 중 6대는 달리는 시한폭탄"

승객안전은 뒷전인 버스업계, 방관하는 관리당국..도대체 언제까지?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6.11.01 12:59:46

도로 주행중 타이어 파열로 대형 사고가 빈발하면서 달리는 시한폭탄으로 불리는 재생 타이어 사용 제한 강화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는 가운데 도내 버스 10대 중 6대는 재생 타이어를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건설교통위원회 최종환 의원에게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6년 7월 현재 재생타이어를 사용 중인 도내 시내버스는 59%(1만955대중 6459대 장착), 마을버스는 63%(2155대중 1364대 장착)로 도내 버스운송회사의 평균 61%가 사용 중인 것으로 나타나 큰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100% 재생타이어를 사용하는 버스운송회사는 과천시 G여객, 양주시 Y교통 · J여객, 안성시 B운수, 양평군 K고속, 수원시 N여객, 안양시 S운수, B운수, 평택시 H여객 · S고속 · P여객, 부천시 S여객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양 일산엠버스 · 가온누리엠, 김포 강화운수와 오산시 오산교통, 파주시 파주선진, 광명시 화영운수, 수원시 용남고속 · 경진여객, 용인시 경남여객, 화성시 경진여객, 부천시 부일교통 · 부천버스 등은 재생타이어를 한 대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노선버스 서비스 향상에 관한 조례 제14조에 의해, 마모 상태가 불량한 재생타이어 사용을 금하고 있으며 해마다 버스의 재생타이어 사용 실태를 정기적으로 조사해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재생타이어 사용율은 지난 2014년 평균 73.5%, 2015년 평균 66.5% 사용율과 비교해 해마다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지만 도민의 안전과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철저한 실태조사와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일부 버스업계에 대해 "적자운영 운운하면 매년 행정당국에 손을 내밀고 있지만 정작 승객의 안전은 외면한 채 자신들의 사리사욕만 채우고 있다"는 비판여론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상황으로 안전관리에 대한 관리당국의 철저한 관리체계도 현실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CNB=이병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