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곤기자 |
2016.11.28 16:07:22
28일 오후 경기도교육청 역사교육위원회는 성명을 발표하고 "오늘 전 국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국정역사교과서가 공개됐다. 하지만 정부는 국정역사교과서를 공개하며 ‘역사적 사실과 헌법가치에 충실한 대한민국 교과서’임을 밝혔지만 막상 공개된 내용을 통해 국정역사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역사적 사실’과 ‘헌법가치’에 충실한 교과서가 아님을 밝힌다"며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 이유로 경기도교육청 역사교육위는 첫째 지난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을 명시한것과 관련해 이는 일부에서 주장하는 ‘건국절 사관’을 반영한 것으로 헌법적 가치를 부정하고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독립운동의 의미를 축소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이 수립됐다’는 서술은 국정교과서 스스로의 논리적 모순을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박정희 정부의 출범과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유신체제의 등장과 중화학 공업의 발전’ 등 경제 성장과 독재를 함께 서술해 ‘균형 잡힌 시각’으로 교과서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으나 ‘계속되는 안보위기-수출주도의 경제 개발 체제-유신체제의 등장’으로 이어지는 전체적인 서술 구조는 독재의 불가피성을 옹호하고 있어 ‘사실에 입각한 균형 잡힌 교과서’라는 정부의 주장이 의심스럽기만 하다고 비판했다.
또한 대다수 역사학자와 현장교원의 외면 속에 비전공자에 의해 집필됐다며 특히 가장 논란이 되는 현대사의 경우 집필진 대부분의 전공이 모두 법학, 정치외교학, 경제학 등이어서 비전문적인 역사교과서라는 것을 자인한 것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단원에 따라 지나치게 세부적인 사실 나열 또는 지나친 생략, 대단원 마무리에 하나씩 들어가 있는 학생활동, 소략하게 들어가 있는 사료, 넘쳐나는 시각자료 등은 역사교사의 교과 재구성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국정화 폐지를 외치는 모든 국민의 함성을 외면하고 역사교과서국정화를 통해 역사인식을 통제하고 획일화하려는 시도 자체는 비민주적 행태이며 다양성의 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빼앗는 행위라고 조목조목 국정교과서 폐지 이유를 다시금 강조했다.
이어 성명은 경기도교육청은 헌법 가치를 부정하는 비민주적, 비교육적 국정역사교과서를 거부하는 한편 국정역사교과서가 교실에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모든 힘을 모을 것이라고 밝혔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