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기도, "소상공인의 고민 빅데이터로 한 방에 해결한다"

빅데이터 7억4000여만 건 활용 도내 5517개 상권 음식업종 분석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7.04.04 13:39:45

경기도가 음식업 창업을 준비 중이거나 업종 변경을 고민하는 소상공인을 위한 상권분석 지표를 개발, 도내 11개 경기도소상공인지원센터를 통해 컨설팅서비스를 제공한다.

경기도는 KB카드, KT, 경기관광공사 등 5개 기관이 보유한 7억4000여만 건에 달하는 빅데이터를 통해 도내 5517개 상권을 분석한 소상공인 상권 평가지표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경기도는 평가지표가 해당 상권의 성장 가능성은 물론 고객들이 좋아하는 업종, 구매력 등을 한 눈에 알 수 있어 음식업계에 종사하거나 창업을 준비 중인 소상공인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경기도는 지난 2013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KB카드가 보유한 내국인 카드 매출내용 5억2300만 건과 카드가맹점 정보 9400만 건, KT가 보유한 2015년 7월~2016년 6월까지의 유동인구 데이터 1억2400만 건 등 7억4100만 건의 빅데이터와 행정자치부의 행정구역, 경기관광공사의 주요관광지 현황 등 모두 10개의 데이터를 활용했다.

경기도는 이들 빅데이터를 이용해 전체 음식업종을 10개 업종으로 분류하고, 경기도내 6234개 기초 행정구역 가운데 점포가 있는 5517개 상권을 분석했다. 10대 음식업종은 주점, 중식, 분식, 치킨, 일식, 커피, 패스트푸드, 제과, 양식, 한식이다.

상권 평가지표는 이들 5517개 상권을 5가지 항목으로 평가한 후 등급으로 표시한 것이다. 5개 항목은 상권매출의 성장과 감소세를 알 수 있는 성장성, 경쟁점포수와 운영기간 등을 알 수 있는 안정성, 1인 평균 구입액을 알 수 있는 고객구매력, 업종별, 지역별 고객선호도, 주변관광지나 명소 등 고객을 끌어 모으는 상권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집객력이다.

박종서 경기도 빅데이터담당관은 “해당 상권과 업종 선정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물론 다른 상권과 비교가 가능한 지표를 제공해 소상공인의 창업실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소상공인지원센터는 수원, 용인, 안산 등 도 내에 모두 11개가 있다. 상권 분석을 원하는 사람은 경기도소상공인지원센터 대표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CNB=이병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