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석근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이 4일 오후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영화진흥위원회 대국민 사과와 혁신 다짐 기자회견'에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와 관련해 국민과 영화인들에게 사과하고 있다. (사진=영진위)
영화진흥위원회가 4일 오후 서울 은행회관에서 대국민 사과와 혁신 다짐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두 정권 동안 지원사업 수행과정에서 위원회의 과오로 명백하게 밝혀진 사실들에 대해 국민과 영화인들에게 공식 사과했다.
그동안 '블랙리스트' 관련 재판 1심 선고 결과 및 감사원 기관운영감사,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이하 진상조사위) 중간 조사 결과로 밝혀진 사실을 바탕으로 영진위가 자체적으로 파악한 결과, 지금까지 사업수행과정에서 특정 단체, 영화인과 작품, 영화사, 상영관에 대한 지원배제나 이를 실행하기 위해 사업이 변경된 사실 등이 모두 50여건 있었음이 확인됐다.
오석근 영진위원장은 "지난 수 년 간 자행된 블랙리스트 실행 과오뿐만 아니라, 그동안 내실있는 영화진흥정책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할 책임을 방기하고, 한국영화의 상징인 영화진흥위원회 위상을 실추시켜 영화인들의 자긍심을 훼손한 데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참회하고, 정중하게 사과한다"고 밝혔다.
이어 "영화진흥위원회 구성원 모두는 합리적인 시민사회의 일원이자 공무수행자로서 영화진흥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투철한 공공성에 입각한 원칙을 준수하고, 다시 흔쾌한 박수를 보내주실 때까지 한 치도 방심하지 않고 영화진흥위원회가 본령을 회복할 수 있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영진위는 피해 당사자들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와 함께, 4월 말 종료 예정인 진상조사위 조사 결과와 자체 구성한 '영화진흥위원회 과거사 진상규명 및 쇄신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통해 지난 두 정권동안 영화인들의 부당한 피해사례를 철저히 밝혀내고, 향후 이런 일들이 재발되지 않도록 심사제도 개선, 주무부처와의 관계 개선, 지원사업의 투명성 및 공정성 강화 방안 등을 제시했다.
또한, 신임 9인 위원회 위원 구성과 함께 시작된 '영화진흥위원회 미래설계 TF' 운영 결과 및 사무국 직제개편 및 인사, 2018년도 영화진흥사업 변경내용, 새 위원회 역점 추진사업 등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