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캠코, '몽골 은행산업 회복·금융 안전성 강화' 세미나

IMF 구제금융 진행 중인 몽골 금융 산업 안정화 및 관련 법률제도 개선 지원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8.08.16 09:25:03

▲캠코가 15일 오전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개최한 '몽골 은행산업 회복 및 금융 안전성 강화' 세미나에서 캠코, 몽골 재무부, 은행연합회, 세이빙스 뱅크 및 중앙은행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캠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는 15일 오전 9시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몽골 재무부 소너 루브산돌쯔(Sonor Luvsandorj) 금융정책국장, 은행연합회 우넨밧 직지드(Unenbat Jigjid) 회장, 세이빙스 뱅크(Savings Bank) 엥크투르 민주르(Enkhtur Minjuur) 파산관재사무소장 및 중앙은행 관계자 등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몽골 은행산업 회복 및 금융 안전성 강화' 세미나를 가졌다.


지난해 10월부터 캠코가 수행 중인 ADB-몽골 컨설팅 활동의 일환으로 열린 이번 세미나는 몽골 재무부, 은행연합회, 중앙은행 등의 주요 인사와 향후 공공 AMC 설립 방안 및 몽골 은행권의 부실채권(NPL) 정리 전략에 대한 강의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이날 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은 △공공자산관리기구의 역할 및 장단점 △은행 파산재단의 법적 체계 △경·공매 방식의 자산 처분 방법 △부실채권의 가치 평가, 인수 및 정리 방법 등을 논의했으며, 몽골 은행산업 회복 및 금융 안전성 강화를 위한 협업 방안도 협의했다.


캠코와 FACP가 공동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한국의 부실채권정리 및 은행 파산재단관리 노하우는 물론 스페인, 아일랜드 등 세계 각국의 부실채권정리기구 운영사례 공유를 통한 몽골 금융 감독업무 고도화 및 관련 법률제도 개선 지원을 목표로 진행됐다.


문창용 캠코 사장은 “이번 세미나에서 몽골 정부, 공공 및 민간 상업은행 전문가들과 함께 몽골 공공 AMC 설립 및 은행권 부실채권정리 방안을 심도 깊게 논의했다”며 “캠코는 지난 55년간 한국경제의 금융안전망 역할을 수행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몽골 금융산업 안정화에 최적화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여 몽골 부실채권정리 및 관련 정부정책 수립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캠코는 지난 `01년부터 태국·중국 등 15개국 26개 기관을 대상으로 총 53회에 걸쳐 부실채권정리 경험을 전수하고, 베트남, 카자흐스탄, 콜롬비아 등 국가기관을 대상으로 총 7회의 KSP(Knowledge Sharing Program) 정책자문 컨설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10월 국내 공기업 최초로 ADB(아시아개발은행)와 미화 약 126만불 규모의 '몽골 은행산업 회복 및 금융안정성 강화를 위한 컨설팅' 계약을 체결하고 몽골 정부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