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연구원 ‘부산·울산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성공 방향 제시

부산연구원, 24일 ‘부산·울산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미래 먹거리 창출’ 보고서 발표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8.24 11:29:50

부산·울산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의 9대 중점 연계 산업 (자료제공=부산연구원)

부산연구원이 부산·울산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한 방안을 담은 ‘부산·울산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미래 먹거리 창출’ 보고서를 24일 발표했다.

부산과 울산 접경 지역 20㎢는 지난 19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원전 해체(원자력)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지정된 바 있다. 이에 부산연구원이 해당 단지를 미래 먹거리로 창출하기 위해 연계산업 강화, 종합지원센터 위상 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위 보고서를 통해 주장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부산·울산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 사업의 ▲연계산업 역할 강화 ▲종합지원센터 위상 제고 ▲동남권에서 나아가 영남권 에너지 산업 융복합단지로의 승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최윤찬 선임연구위원은 “중점산업군인 원전해체 산업에 대해선 부산과 울산이 지난 2016년부터 용역과 연구개발 등을 추진해 일정 수준의 논리성은 갖추고 있다”며 “그러나 연계 산업군은 충분한 논리적 근거가 확보되지 못함에 따라 깊이 있는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종합지원센터의 위상 제고를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최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융복합단지 조성 사업의 성패는 종합지원센터의 역할에 달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종합지원센터는 고유 업무도 중요하지만 정부, 부산시, 울산시, 원전해체종합연구소, 참여기업, 지역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요구를 조정해야 하는 임무가 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그는 종합지원센터 실무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해 해소하는 방안 마련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추진 중인 융복합단지 공간은 부울경 광역교통망의 원활한 조성을 통해 반나절 물류가 가능한 지역에 있으므로 광역권 융복합단지로 추진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하며 “나아가 현재 경북의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사업은 육상 풍력 중심으로 구성될 예정으로 알려졌다. 육상과 해상 풍력발전의 주요 기자재 공급 생태계가 동남권에 조성돼 있으므로 향후 경북을 포함한 영남권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 사업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울산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의 공간 구성 계획도 (그래픽=부산연구원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