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8.27 16:37:10
부산참여연대가 27일 논평을 내고 부산시에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민-관 협치기구를 아직 조성하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조속히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참여연대는 논평을 통해 “코로나19의 조기 종식이 힘든 상황에 대비해 서울을 비롯한 여러 지자체에서는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민과 관이 함께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을 하므로 시민에 다양한 대책을 지원하고 있다”며 “부산에서도 지난달 8일 사회통합과와 부산의 시민단체가 간담회를 열었다. 참석자 대부분은 시에서 코로나19를 대응할 기구와 조직을 만들고 시민단체와 소통하며 민과 관이 함께 대응해나가자고 제안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시는 어떤 이유인지 시민단체가 요구한 코로나19 대응 민-관 협치기구를 아직 마련하지 않고 있다”며 “7, 8월 접어들어서도 사회, 경제 부분의 침체는 지속하고 있는데 시는 코로나19에 대한 대응 기구를 마련하지 못한 채 다시 지금의 위기상황을 맞이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시는 시민, 시민단체와 소통하고 함께 코로나19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민관협의체를 만들어 행정만으론 대응하기 힘든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며 “또 취약한 부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코로나19 민관 협치기구를 구성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참여연대 관계자는 “지금까지 전 국민과 시민의 희생과 노력으로 K-방역이란 모범을 만들며 코로나19에 대응해 왔지만 이를 일시에 물거품으로 만들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며 “부산지역 광복절 집회 참가자 1500여명 가운데 아직도 연락이 안 되는 사람이 100여명에 달한다고 한다. 또 지난 주말 대면 예배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이 내려졌음에도 부산에서 총 297개의 교회에서 대면 예배를 강행했다”고 위기의식을 전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을 고려한다면 지금과 같은 물리적 강행과 법적 대응 등 강경한 대치가 아니라 사회적 대화와 합의가 절실한 상황이다. 코로나19는 정치적 영역도 종교적 영역도 아니다”라며 “전 국민이 방역을 철저히 하며 절제하고 노력해 이겨내야 하는 절박한 위기 상황이다. 나와 이웃을 위해, 또 공동체와 부산을 위해 시민 모두의 노력과 함께 부산시의 소통과 협치가 필요한 시기”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 협치추진단장은 CNB뉴스와의 전화에서 “일전에 지역 시민사회단체에서 코로나19 협치기구 설립을 제안해 왔다. 이에 현재 부산시 협치협의회 등에서 검토하고 있는 단계다”라며 “현재 코로나19 상황이 시급하게 돌아가는 위기 상황이기에 민간에서 협치에 대한 관심이 큰 상황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보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아직 말씀드리기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CNB=부산/변옥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