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9.10 14:28:51
블록체인이 언택트 경제를 주도할 부산의 신성장동력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의 빠른 안착을 위해 시민이 체감할 대표적 서비스 개발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부산연구원은 10일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표하고 위와 같은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에는 “블록체인을 바탕으로 부산 경제를 활성화할 기회를 확보했다”며 “시장에 활용 가능한 서비스를 출시하며 특구를 중심으로 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위 보고서를 작성한 배수현 연구위원은 “물류, 관광, 금융, 공공안전의 현재 신청한 4개 서비스를 빨리 상용시장에 내놓을 수준으로 개발해 시범 적용을 한 뒤 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2차 사업으로 추가 선정된 금융·마이데이터 총 3개의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상용화하기 위해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블록체인 핵심 중 하나인 ‘DID(Decentralized Identifier)’ 시범 서비스의 확대 추진이 필요하다고 제기했다. DID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인증 방식으로 개인정보에 대해 자신이 통제권을 갖는 시스템이다.
이외에도 최근 확대되는 시민 할인 등을 위한 증빙으로 시민증을 DID 시범사업으로 발급해 시 관련 개인 증명서를 모두 통합할 수 있는 플랫폼을 먼저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각 업체에서는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암호화폐의 유통이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거래소 설립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