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9.16 11:10:48
부산시와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가 지난 7월 전국 각지에서 논란이 된 수돗물 깔따구 유충 발생 신고를 계기로 수돗물 전 과정에 대한 ‘유충 방지 종합대책’을 16일 발표했다.
먼저 시는 그간 행정적으로 관리하던 정수장과 배수지의 수돗물을 ‘식품’으로 취급해 모든 생산·공급 과정에서 위해 요인을 차단하기 위해 ‘식품안전경영시스템 ISO22000 인증’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정수장과 배수지의 성충 유입 억제 대책으로 오는 2022년까지 총 487억원의 예산을 들여 ▲출입문·창문 등에 미세방충망, 포충기 설치 ▲입상활성탄 여과지 상부 밀폐 덮개 설치 ▲입상활성탄 여과지 하부집수장치 여과 기능 수리, 보강 등도 시행한다.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 관리하는 아파트 저수조와 가정용 물탱크 관리도 강화한다. 현재 아파트 저수조는 수도법에 따라 6개월 단위로 청소하고 있어 이를 시설 관리자가 반드시 이행하도록 점검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또 가정용 물탱크 청소는 법적 의무가 마련되지 않았으나 시설 관리자에 연 2회 이상 청소하도록 권고하기로 했다. 더 장기적으로는 배수지 확충을 통한 직결급수 확대와 물탱크 철거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도 최근 유충 의심 신고 해결을 위해 수질전문가, 배관전문가, 해충전문가로 구성된 ‘민-관 합동 역학조사반’을 조직해 운영할 예정이다. 지난 7월 9일 인천에서 첫 수돗물 깔따구 유충이 발견된 이후 부산에서는 현재까지 총 176건의 유충 신고가 접수된 가운데 실제 시료를 확보한 건은 114건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