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해양조사원, ‘울릉도·독도 해양예측시스템’ 운영 예정

“독도 주변 바다 흐름, 우리가 상세히 예측한다”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9.16 14:38:13

울릉도·독도 해역 예측 모델링 수행 결과 (그래픽=국립해양조사원 제공)

국립해양조사원이 ‘고해상도 울릉도·독도 해양예측시스템’의 개발을 마치고 올해 말까지 시범운영을 거쳐 조만간 예측시스템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이 시스템을 통해 동해상 울릉도와 독도 주변의 상세한 바다 흐름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해양조사원에 따르면 바닷물의 움직임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고성능 컴퓨터를 이용한 ‘해양수치 모델’ 프로그램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넓은 바다를 바둑판 모양의 격자로 나눠 각 격자에서 해수 흐름의 속도와 방향을 계산, 예측한다.

측량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격자 크기가 작을수록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생산된 해수 흐름 정보는 바다의 과거와 현재를 재현해 검증한 뒤 미래를 예측하는 자료로 활용된다.

해양조사원은 기존에 울릉도와 독도 주변 해수 흐름 예측을 위해 한 개의 격자를 3㎞ 크기로 계산했으며 지난 2년간 기존 격자보다 약 3배 작게 만든 1㎞ 격자의 수치 모델로 개선해왔다. 올해는 더욱 상세한 300m 격자를 적용해 정확도를 높인다는 목표다.

홍래형 해양조사원장은 “올 연말에 울릉도·독도 해양예측시스템 현업화를 마친 이후에는 매일 3일간 예측 정보를 국민들에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어업, 재난재해 대응, 군사 분야 관련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격자 크기 세밀화에 따른 해수 흐름 측량의 정밀도 차이. 오른쪽으로 갈 수록 격자 크기가 세밀해져 해수 흐름이 보다 정확하게 눈에 들어온다. (그래픽=국립해양조사원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