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내년도 예산안 ‘13조 3017억’ 제출… 포스트 코로나 초점

‘글로벌 광역경제권 중심도시 실현’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환’ 전략과제 하에 편성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1.11 16:35:26

11일 오후 3시 30분 부산시청 브리핑실에서 변성완 시장 대행이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변옥환 기자)

부산시가 ‘2021년도 예산안’과 ‘2020년도 제4회 추가경정예산안(추경예산안)’을 편성해 오늘(11일) 부산시의회에 제출했다.

이에 대해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11일 부산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년도 예산안으로 총 13조 3017억원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올해 예산안 12조 5906억원에 비해 7111억원(5.6%) 늘어난 금액이다.

부산시는 내년도 예산안을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환’이란 전략과제 아래 ▲빠른 지역경제 회복 ▲사회안전망 구축 ▲확고한 코로나19 극복, 재난·재해로부터 시민 안전보호에 역점을 둔 가운데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먼저 세입 여건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로 지방세가 올해 대비 2.5%(1078억원) 감소한 반면 국고보조금은 정부의 한국판 뉴딜 등 확장적 재정 운영에 따라 10.6%(4527억원) 늘어났다.

특히 시는 확장적 재정 수요 등에도 불구하고 특별회계 기금의 잉여재원 활용을 통한 전략적 재원 배분과 지출구조를 과감히 조정해 채무 비율 ‘24.9%’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지자체가 예산 대비 채무 비율을 25% 넘길 경우 행정안전부(행안부)로부터 ‘재정 주의단체’로 지정돼 지방채 발행에 제한을 받게 되며 재정 건전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 세출 수요는 ▲지역경제 역동성 회복 ▲안전하고 살기 좋은 도시환경 조성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복지, 문화 3대 중점분야에 총 13개 과제를 세워 6조 8940억원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내년도 부산시 예산안 요약도 (자료제공=부산시, 사진=변옥환 기자)

먼저 지역경제 회복은 코로나19 등 충격으로부터 회복과 반등 모멘텀 공고화가 필요함에 따라 2377억원을 들여 부산형 뉴딜을 추진하고 지역 소비 활력 제고사업에 708억원의 예산을 마련했다. 또 미래형 산업구조 혁신에 총 179억원, 블록체인 규제자유 금융도시 조성사업에 79억원 등 미래 먹거리사업 육성 예산도 편성했다.

‘고용 및 사회안전망 강화’ 분야에는 지역 맞춤 일자리 사업에 363억원, 청년 희망일자리에 393억원, 저소득계층 소득 보장 강화 사업에 6260억원, 사회적 약자 보호에 1027억원 등을 편성했다.

‘감염, 재난·재해로부터 시민 안전보호’는 전 주기 방역시스템의 보강과 공공의료시설 확충을 위해 2323억원을 편성했으며 소방 안전장비 구축에 332억원, 도시숲·녹색공간 창출에 361억원을 편성했다.

어려움을 겪는 문화·스포츠·관광 분야 회복 지원으로는 문화·예술 지원과 기반 조성사업에 1636억원, 관광도시·스포츠 인프라에 566억원으로 올해 이상 수준의 예산을 편성했다.

한편 올해 4회 추경예산안은 지난 7월 3회 추경 이후 지자체 세입 증감분과 추가·변경된 정부예산, 미집행 사업 정리, 실 집행 가능한 필수사업 재투자를 통한 운용 효율성 극대화 등 올해 재정 수요를 정리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축제 등 미추진 사업과 계약 낙찰 차액 등 집행 잔액을 과감히 정리해 총 357억원 규모의 재원을 16개 구·군의 조정교부금으로 반영했다.

변성완 시장 권한대행은 “올 초부터 이어온 코로나19 사태 속에 우리는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노력해왔다. 우리 시는 한순간도 방심하지 않고 계속해서 최선의 방역체계를 가동해나갈 것”이라며 “내년은 튼튼한 방역체계 위에 지역경제가 되살아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단순 회복을 넘어 위기를 기회로 바꾸고 더 도약하는 해로 만들 것이며 소중한 재원을 시민 삶을 지키고 부산의 미래를 여는 데 사용하겠다”고 강조했다.

 

내년도 부산시 주요 투자사업 목록 (자료제공=부산시, 사진=변옥환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