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낙동강 하굿둑 개방 ‘3차 용역 2단계’ 추진

올 연말까지 이해관계인 의견 수렴과 낙동강유역물관리위 논의 거쳐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 제시 예정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1.12 10:23:45

지난 6월부터 한 달 동안 진행된 3차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 실험 당시 수문 월류 해수유입 현장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위한 ‘3차 용역 2단계’ 과정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올 연말까지 개방에 따른 분야별 대책과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낙동강 하굿둑 운영 개선과 생태복원 방안 연구 3차 용역 2단계를 통해 ▲하천, 해양 영향 검토 ▲하천시설물·농업·어업·지하수·환경·생태에 대한 영향 검토와 대책 마련 ▲실증실험 계획 수립, 시행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 제시 등을 할 예정이다.

이번 용역 3차 2단계는 지난해 3월부터 내달까지 시행하는 과정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모의실험을 했던 직전 1단계와는 달리 실증실험을 시행해 분야별 영향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3차에 걸친 실증실험 결과, 하굿둑에 ‘장어’ ‘고등어’ 등 기수 어종이 출현해 기수생태계 복원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시는 전했다.

시는 세 차례의 실증실험 결과를 정밀하게 분석해 ▲대저 수문 개선방안 ▲농업용수 공급 방안 ▲서낙동강 수질 개선 방안 등의 대책과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8월부터 운영하고 있는 농민, 어민 등 이해관계인이 포함된 민-관 협의체의 의견을 수렴하고 낙동강유역물관리위에 상정해 논의 후 올 연말에 수문 운영 방안과 분야별 대책을 포함한 기수생태계 복원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해당 용역 ‘3차 1단계’를 지난 2018년 1월부터 11월까지 시행해 ▲하굿둑 개방에 따른 하천, 해양 등 영향 검토 ▲하굿둑 구조물 안전성 확보 방안 마련 ▲지하수 염분 침투로 인한 농작물 등 영향 분석, 평가 방안 수립 ▲하굿둑 수문 개방 실증실험 방안 수립 ▲낙동강 하구역 생태, 환경 모니터링을 했다.

1단계 용역 결과, 하천 유량에 따른 해수 침투범위가 ▲갈수기(상류 유량 71㎥/s) 시 하굿둑 상류 최대 28.5㎞ ▲평수기(상류 유량 135㎥/s) 시 하굿둑 상류 최대 23.7㎞ ▲풍수기(상류 유량 450㎥/s) 시 하굿둑 상류 최대 7㎞까지 해수가 침투해 ‘갈수기’ 때 상류 28㎞에 있는 원동취수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부터 한 달 동안 진행된 3차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 실험 당시 수문 월류 해수유입 현장 (사진=부산시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