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동백전 오해 바로 잡는다”… ‘수수료 0.7% 하향’ 등 해명

구·군 추가 캐시백 구현하는 중층구조도 도입… 운영대행사, 내달 초 ‘지역상품몰’ 오픈 예정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1.12 11:15:26

앞서 지난 11일 오전 부산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이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백전의 운영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사진=변옥환 기자)

어제(11일)자 부산참여연대 등 지역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의 지역화폐 동백전 운영에 대해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한 가운데 부산시가 12일 보도자료를 내고 해명에 나섰다.

(관련기사: 부산참여연대, 동백전 운영사 재선정에 반발 “전문적 논의 부재”)

앞서 시민사회단체에서는 동백전 모바일 앱에서 운영대행사가 수행하는 기능이 ‘충전’뿐이고 결제는 제휴카드사가 하도급으로 수행한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시는 동백전 카드 결제 과정 중 ‘매입’만 제휴카드사가 담당하며 승인과 정산 등 실질적 역할은 운영대행사가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함께 시민단체에서 가장 강조했던 동백전 운영대행사인 KT가 협약 당시 약속한 ‘지역상품몰’ 오픈을 미루고 있다는 지적에 시는 계약대로 대행사가 구축을 진행해 내달 초 완료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시민단체들은 지역화폐 운영대행사에 지급하는 연간 수수료 100억원이 타 지자체와 비교하면 과도하다는 지적을 했다. 이에 시는 “동백전을 당초 계획인 3000억원에서 1조원으로 증액 발행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수수료가 추가된 것”이라며 “요율은 기존 1.155%에서 0.7% 수준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 요율은 타 광역지자체의 수수료 요율을 고려할 때 높은 수준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부산시 전역에 구·군 캐시백을 추가 제공하는 ‘중층구조 시스템’도 이미 지난 2월에 도입을 마친 상태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7일 열린 중간보고회에서는 연제구 내 가맹점을 대상으로 시범운영도 이뤄졌다고 소상공인지원담당관 관계는 전했다.

이외에도 시는 시민과 소상공인을 위한 기능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가맹점에서 1~10% 추가할인을 제공하고 앱 내에서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상생 플러스 가맹점 서비스’도 지난 5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동백전 이용 시 할인이 누락되지 않도록 대행사와 밀착 관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산시 이윤재 민생노동정책관은 “부산시는 운영대행사와 협의해 충전금 계좌를 시가 직접 운영하는 등 타지역보다 우수한 측면도 많아 단순 비교는 어렵다. 일각에서 제기한 다양한 부가 기능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 위원회의 의견 수렴을 거쳐 지속해서 업데이트할 예정”이라며 “현 운영대행사와의 계약기간인 연말까지 모든 과업이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점검할 계획이다. 최근 제기된 동백전에 대한 오해를 대표적인 지역화폐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기회로 삼겠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