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해수부)가 17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57회 국무회의’에서 ‘2030 항만 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보고한 가운데 부산항 개발계획 등을 발표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부산해수청)에 따르면 이번 항만정책 방향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 디지털 항만 실현’이란 비전 아래 ▲4차 산업 기술 연동한 항만 물류 디지털화, 지능화 ▲지속 인프라 확충 통한 항만 글로벌 경쟁력 강화 ▲항만-지역 간 상생 통한 지속가능성 강화에 중점을 뒀다.
그 가운데 부산항에 대한 내용은 먼저 부산 신항의 경우 21선석 규모의 부산항 제2신항을 오는 2022년 착공해 3만 TEU급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메가 포트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스마트 항만시설과 친환경 시설도 도입할 예정이다.
1단계 3선석은 오는 2030년까지, 2단계 6선석은 오는 2036년까지 차례로 개장한다는 계획이며 중소형 선박을 위한 피더부두를 확충해 환적화물 유치 경쟁력도 높인다는 계획이다. 부산항 제2신항의 명칭은 지역 건의를 수용해 ‘진해신항’으로 확정했다.
이와 함께 오는 2026년까지 항만 자동화 국산화 기술을 개발하고 광양항에 테스트베드를 거쳐 오는 2030년부터 부산항 제2신항에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나갈 계획이다. 또 연도 해양문화공원, 가덕도 해양공원을 비롯한 복합 해양문화공간 조성을 지원하고 LNG 벙커링, 육상전원공급설비, 배출규제해역 지정 등을 적극 시행해 환경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부산항 북항의 경우 현재 추진하고 있는 북항 재개발 2단계에 따라 양곡부두와 자성대부두를 도심기능으로 전환하고 용호부두 재개발사업과 부산항 구항 정비로 항만 공간을 산업·문화 거점으로 탈바꿈한다. 또 영도 청학동 일대에 재해방지시설을 설치해 기상 악화 시 항만시설을 비롯한 민간 시설물 피해를 예방하고 통항 선박의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박경철 부산해수청장은 “이번 해수부의 2030 항만정책 방향 및 추진전략에 따라 향후 10년간 부산항을 차질 없이 개발해 부산항이 동북아 물류 중심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지역과 상생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지원하는 항만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