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연구원, 시에 ‘남-북-러 경협수소 생산·운송 사업’ 추진 제안

북한 및 러시아 석탄이나 가스 자원 이용해 수소 생산·운송 사업 추진안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1.26 14:05:40

(자료제공=부산연구원)

최근 정부의 신북방 정책과 수소에너지 시대와 연계해 남-북-러 경협수소 생산 및 운송 프로젝트를 부산시에서 추진하자는 의견이 제시돼 이목을 끌고 있다.

부산연구원은 26일 이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남-북-러 경협수소 생산·운송 프로젝트의 부산시 추진 방안’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북한과 러시아에서 나는 석탄이나 가스 자원을 이용해 수소 생산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현재 정부는 신북방 정책의 일환으로 정치 분야의 남-북 관계 개선뿐 아니라 상호 경제협력을 통해 윈윈하겠다는 전략을 계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또 부산시도 신북방 정책에 연동해 지역 차원의 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가 탈석탄, 탈원전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펼치며 온실가스 배출이 적고 사용과 폐기가 안전한 에너지 보급에 대한 산업 육성에 매진하고 있는 상태다. 여기에 수소와 천연가스 등 기체 에너지가 부각돼 최근 발표된 ‘한국 수소 로드맵’에 따르면 국내에 2050년경 필요한 수소량은 1650여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부산연구원이 ‘남-북-러 경협수소 생산·운송 프로젝트’를 기획한 것으로 이는 실증 후 상용화의 2단계로 구상됐다. 프로젝트는 해상시설물을 전제하며 하루에 액체수소 5톤을 생산하는 규모로 총사업비 2100억원이 산정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최윤찬 선임연구위원은 “남-북을 둘러싼 정치적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특히 핵 문제 해결의 진행 여부가 불투명하다. 때문에 우선적으로 한국과 러시아와의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북한의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해 로드맵을 제시했다”고 설명하며 “기존 석탄의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포집과 이용 사업의 경제성보다 이번 프로젝트의 갈탄 열분해 배출 이산화탄소 포집과 이용이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수소와 탄산의 시장 판매가격을 고려하면 수소를 판매해 얻는 수익보다 되려 탄산 판매 수익이 더 높을 수도 있다”고 의견을 전했다.

 

(자료제공=부산연구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