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의 고용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선 경제활동 참가율을 높이는 정책을 시행해 지역 노동력 공급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최근 제시됐다.
부산연구원 산하 경제동향분석센터는 30일 ‘부산 경제활동 참가율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고 지역 고용대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했다.
부산의 고용률은 전국대비 낮은 상황으로 이는 실업률 상승이 아닌 경제활동 참가율의 부진에 따른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에 5년 단위의 중장기 변화를 통해 경제활동 참가율 변동 요인을 분석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현욱 경제동향분석위원은 “부산의 고용률은 실업률보다 경제활동 참가율의 영향을 더 크게 받고 있다”며 “경제활동 참가율의 중장기 변화를 살펴보면 지난 2016년 하반기 이후 전국보다 큰 하락세를 보여 대응 전략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보고서는 부산의 전체 경제활동 참가율 변화를 특정 집단의 인구 비중 변화와 경제활동 참가율 변화로 나눠 연령대·성별 집단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연령대로는 60대 이상 고령층, 성별은 여성이 경제활동 참가율 유지에 가장 큰 이바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대 가운데 15~29세는 전체적으로 경제활동 참가율 수준이 낮으며 2016년 이후 전체 경제활동 참가율 개선에 대한 기여도가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30~39세는 핵심 노동인구를 구성하는 연령층임에도 인구 구성비와 경제활동 참가율이 모두 하락해 가장 취약한 연령집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40~49세는 인구 점유율은 떨어지고 있는 모습을 보이나 경제활동 참가율은 상태 유지를 하고 있어 타 연령층에 비해 경제활동 참가율 변화 기여도가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또 50~59세는 지난 2018년 이후 경제활동 참가율 변화로 인한 효과가 급증해 전체 경제활동 참가율 변화에 대한 기여도가 전 연령층 가운데 가장 크게 나타났다.
남녀 간 경제활동 참가율 변화의 경우 남성의 참가율은 추세적으로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전체 비율 유지에 더 크게 이바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현욱 경제동향분석위원은 “경제활동 참가율 제고 정책으로 지역경제의 성장 잠재력을 유지하고 고용 둔화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해야 한다”며 “경제활동 참가율 제고를 위해선 연령대·성별로 적극적인 노동력 공급 구조 개선과 각종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15~29세의 청년층의 경우 학업 종사, 취업 준비 등 개인 역량을 축적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기에 청년층의 고학력화 현상을 취업 기회와 생산 확대로 연결하려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30~59세 중장년층은 중·저숙련 제조업 일자리가 줄어드는 일자리 양극화가 경제활동 참가율을 낮추는 요인이기에 직업훈련 체계 재정비와 인려 활용 확대 방안이 필요하다”며 “60세 이상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여는 증가추세에 있으나 향후 계속고용 촉진과 재취업 활성화를 통해 노동공급 기반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