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 도시철도 1~4호선 전 역에 ‘공기질 자동측정기’ 설치

환기 어려운 지하공간에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한 측정기 통해 실내 공기질 효율적 관리 목표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2.01 11:15:42

부산도시철도 서면역 내에 설치된 공기질 측정기 모습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시민들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미세먼지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도시철도 1~4호선 내 모든 역에 ‘실내 공기질 자동측정기’를 설치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실내 공기질 자동측정기 설치 사업은 총 45억원의 예산으로 승강장 91곳과 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환승역 대합실 13곳 등 총 104곳에 설치됐다. 향후 시는 측정 결과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지하철도 역사 실내 공기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공기질 측정 결과는 측정기 전광판에 즉시 나타난다. ‘좋음’(측정치 0~30㎍/㎥)은 파랑색, ‘보통’(31~50㎍/㎥)은 녹색, ‘나쁨’(50㎍/㎥ 초과)은 주황색으로 표현해 나타낸다.

특히 앞서 보건환경연구원 모니터링 결과, 실내 공기질이 초미세먼지 기준농도인 48㎍/㎥에 근접 또는 초과할 경우 역사 관리자에 결과가 자동으로 통보된다.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와 환기 시설을 즉각 가동할 수 있어 실내 공기질 관리에 더욱 수월해질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시는 지하철도 내 공기질을 중점 관리하기 위해 지하역사 총 69곳에 공기청정기 568대와 전동차 358칸에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한 바 있다. 시는 내년까지 전 지하철도 역사와 전동차에 공기청정기와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변성완 시장 권한대행은 “지하 공간은 자연 환기가 어려우며 밀폐한 공간에 많은 이용객이 몰리는 만큼 시민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이번 자동측정기 도입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기질 관리가 가능해진 만큼 앞으로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시 지하역사 공기질 모니터링 시스템 모습 (사진=부산시 제공)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