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상의 등, LCC 통합 대비해 ‘공동대응 TF팀’ 구성 협의

산업은행 및 국토교통부에 ‘지방 거점 통합 LCC’ 구축에 대한 약속 이행 촉구 나선다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2.09 15:34:48

9일 부산상의 8층에서 진행된 ‘LCC 통합에 따른 관계기관 대책회의’ 현장 (사진=부산상공회의소 제공)

한진칼을 상대로 한 신주발행 금지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서 기각되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통합이 본격화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양사의 LCC(저비용항공사) 통합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부산상의)는 9일 부산상의 8층 회의실에서 부산시, 시의회, 에어부산, 시민단체, 에어부산 지역 주주사 등과 함께 ‘LCC 통합에 대한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산업은행과 국토부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통합을 발표하며 지방공항을 거점으로 하는 통합 LCC Second 허브 구축과 통합 LCC는 지방공항을 기반으로 영업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문제는 최근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의 인터뷰와 같이 지방 중심의 통합 LCC 운영이란 정책의 기본 방향을 흔들려는 움직임이 벌써 감지되고 있다고 부산상의는 제기했다. 이에 대해 부산상의 관계자는 “일부 중앙언론에서는 통합 LCC 본사를 부산에 두는 것에 대해 마치 항공사 발전에 걸림돌인 것처럼 보도되고 있어 지역 차원의 단호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이날 회의에서 부산상공계와 지자체를 비롯한 각계에서는 ‘에어부산 중심의 LCC 통합’을 위한 공동대응에 나설 ‘공동대응 TF팀’을 구성하기로 협의했다.

회의에서 부산상의는 LCC 통합에 대한 추진 경과와 산업은행 및 국토교통부(국토부)의 관련 발표를 보고한 뒤 관계기관별 입장과 요구사항을 듣고 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부산상의는 이날 회의 결과를 토대로 대응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상의를 비롯한 각계는 늦어도 내년 3월 무렵 통합에 대한 큰 밑그림이 나올 것으로 내다보고 지역 차원의 신속한 대처를 위해 LCC 통합대응 TF팀을 가동해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