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1.07.22 17:01:07
지난 19일 내년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5.1% 오른 ‘9160원’으로 고시되며 경영계가 이의 제기에 나서는 등 후폭풍이 거센 가운데 부산지역 산업계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부산상의)는 22일 ‘2022년도 최저임금에 대한 부산지역 산업현장 의견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부산지역 주요 제조사 100개 업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기업 가운데 58.5%가 최저임금 동결을 희망한 것으로 응답했다. 삭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힌 기업은 5.7%며 나머지 35.8%는 ‘소폭 인상’은 감내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부산지역 제조사가 현 상황에서 감내 가능한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은 ‘1~3%까지’가 43.4%로 가장 많았다. 반면 5% 이상 인상을 감내할 수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7.5%에 불과했다.
조사 응답기업들 가운데 과반인 56.6%가 최저임금 결정에 ‘코로나19 사태 위기 상황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물가상승’ 18.9%, ‘고용상황’ 13.2%, ‘경제성장률’ 5.7% 등의 순으로 최저임금 상승률 고려 요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기업 차원의 대책 질문에서는 35.8% 응답기업이 신규채용을 축소하겠다고 답하며 가장 많은 비중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근무시간 조정’ 28.3%, ‘감원’ 13.2%, ‘인센티브 축소’ 9.4%, ‘복지 축소’ 3.8% 등으로 나타나 임금을 놓고 노-사 간 갈등이 더 심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상의 기업동향분석센터 관계자는 “백신 접종이 본격화함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팬데믹이 4차 대유행으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은 물론, 소상공인의 고통이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최저임금 인상보다는 일자리를 지키는 노-사 간의 상생 노력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