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조사 후 건물 전면 철거 후 재시공 검토"
"사업 일정기간 현대산업개발 참여 배제 방안 법률적 검토"
광주 화정동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 붕괴사고 실종자 수색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지만 추가붕괴 등으로 수색에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소방 구조대원들이 실내 수색작업을 재개하고, 드론을 활용한 외부 수색작업도 진행된다.
광주시는 13일 무인 굴삭기를 투입, 적치물 제거와 수색작업을 실시한다. 또 현대산업개발은 현장 수색을 위한 낙석 추락 방지 와이어 설치와 함께 별도의 구조팀을 투입해 실종자 수색에 들어갔다.
시공사인 현대산업개발도 수색작업을 위한 안전망 구축과 추가 붕괴사고를 막기 위한 타워크레인 해체 작업을 일요일까지는 완료토록 하고, 옹벽 안전장치 설치 등도 신속히 조치키로 했다.
지난 12일 현대산업개발이 진행하고 있는 광주시내 5곳 공사현장에 대해 즉시 공사중단 행정명령을 내린 광주시는 "확실한 안전성 확보 없이 공사가 재개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 가운데 이번 사고와 관련 재발 방지를 위한 입장을 발표했다.
이번 붕괴사고가 발생한 아파트 공사현장은 전문가들과 철저히 점검해 건물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건물 전면 철거 후 재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앞으로 광주시가 추진하는 사업에 대해 일정기간 현대산업개발 참여를 배제하는 방안도 법률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또 광주시는 공사현장 관리감독과 관련, 현재는 구청별로 감리단을 지정하고 있지만 현장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공공감리단 제도를 도입‧설치해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에 대해 안전을 철저히 점검하고, 문제발생 시에는 공사를 중단시키고 시정토록 해 안전사고를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는 “이번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신축공사가 시작된 2019년 5월부터 이달까지 서구청에 소음·비산먼지 등 각종 민원 386건이 접수됐고, 이 중 27건에 대해 과태료 부과 등 행정처분이 내려졌던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시 감사위원회는 이번 사고와 관련, 감독관청의 관리감독 부실 여부에 대한 특별감사를 실시해 문제가 확인되면 엄중하게 책임을 묻고 일벌백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고발생 후 40여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실종자를 찾지 못하고 있어 추위에 떨고 있을 실종자들과 애타게 생존 소식을 기다리고 있는 가족들께 너무나 송구스럽다.”면서 “지금은 무엇보다 실종자를 찾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사고원인 조사는 경찰과 사법기관 등에 맡기고, 실종자 수색 작업과 추가 붕괴사고를 막는데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