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고령사회 접어든 울산 지난 3월, 만 65세 이상 14% 넘어

의료서비스 확대 및 독거노인 지원 강화 필요

  •  

cnbnews 한호수기자 |  2022.08.19 15:45:42

울산시청 전경(사진=울산시 제공)

울산시가 지난 18일 발표한 ‘2022 울산광역시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울산시의 전체 인구는 111만8010명으로 나타났다.

이중 만 65세 이상이 15만6120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14%를 넘어선 고령사회에 진입해 의료서비스 확대 및 독거노인 지원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2022년 울산광역시 사회조사(‘98년 첫 시행, ‘22년 4월 제25회 시행, 응답자는 총6832명(관내 3820개 가구주 및 만15세 이상 가구원)의 복지 부문 분석 결과를 통해 울산시의 복지정책이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복지증진 우선 과제는 환경, 노인복지, 저소득층 복지 순.

울산 시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우선 과제로는 ‘쾌적한 녹지공간 조성 등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정책’(45.3%)과 ‘노인복지 시책 확대’(41.2%)가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저소득층 복지 확대’(39.5%), ‘보건소 등 공공 보건서비스 증진’(37.7%) 등의 순이었다.

연령이 높을수록 ‘노인 복지 시책 확대’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경우 ‘노인 복지 시책 확대’의 응답이, 600만원 이상은 ‘쾌적한 녹지공간 조성 등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정책’의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필요한 노인복지는 의료서비스 확대, 노인 일자리 제공.

노인 복지 향상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로는 ‘의료서비스 확대’(37.5%)와 ‘노인일자리 제공’(30.3%)이 높았다.

주거 점유 형태가 보증금 없는 월세인 경우 ‘노인일자리 제공’이 44.4%로 가장 높았다. 울주군 거주 경우 ‘소외노인지원강화(가정도우미 등)’가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13.6%로, 다른 구군(중구·남구 7.9%, 북구 7.5%, 동구 6.0%)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었다.

지난 3월 고령사회로 진입한 울산은 앞으로 노인복지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1인 노인 가구 및 저소득 노인 가구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관심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사회 진입 기준, 2022년 3월 기준 만65세 이상 노인인구(내국인)는 15만6120명으로 전체인구의 14.0%를 차지 고령인구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이상이면 고령사회, 20%이상이면 초고령사회이다.

■장애인복지 우선 사업은 생활시설 및 복지관 확충, 의료비 지원.

그리고 장애인복지 관련 우선 사업으로는 ‘장애인 생활시설 및 복지관 확충’(41.6%), ‘의료비 지원’(38.4%), ‘장애인을 이해하고 포용하는 사회분위기 조성’(35.9%) 등의 순을 보였다.

■보육환경 개선 방안 : 보육비 지원 확대,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보육환경 개선을 위한 시민의 답변으로는 ‘보육(교육)비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2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보육(교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 20.0%, ‘수요에 맞는 보육(교육)시설 확충’ 18.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군별로 살펴보면, 동구가 ‘보육(교육)비 지원 확대’가 34.6%로, 전체 응답 비율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여성복지 향상 정책은 일자리 확대와 직업교육 및 취업정보센터 확대.

울산의 여성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으로 여성 시민의 답변은 ‘일자리 확대’(81.1%), ‘직업교육 및 취업정보센터 확대’(73.9%)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 이하 여성은 ‘자녀양육비 지원을 늘린다’, 40대 여성은 ‘여성을 위한 직업교육 및 취업정보센터를 늘린다’, 50대 여성은 ‘여성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직종을 개발한다’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변화하는 인구 구조에 발맞춘 복지 정책 수립.

울산시는 저출산, 고령사회 진입, 1인 가구의 증가 등 인구 구조 변화 및 사회조사 결과를 반영해 복지정책을 보완해 나갈 방침이다.

그 밖의 자세한 조사결과에 대해서는 아래 울산시 통계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