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유역환경청과 울산시는 9일 울산지역의 대기환경관리를 위해 동남권 미세먼지연구·관리센터 및 울산지역 31개 기업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자발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낙동강청와 울산시가 지역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산업계와 협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울산지역은 대규모 석유화학, 비철금속 업체들이 밀집돼 있는 특성상 미세먼지 원인물질인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량이 많아 산업계의 자발적 저감노력이 매우 필요한 곳이다.
이에 대기오염물질을 다량 배출하는 대형사업장이 밀집한 울산의 대기질 개선 및 효과적 대응을 위해 자발적 협약을 재추진했다.
협약에 따라 해당 기관·기업들은 `23~`24년 기간 동안 기업별 기준연도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대비 약 40% 감축을 목표로 업체별 감축량, 연차별 저감계획 등의 이행계획을 적극 지원 및 추진할 계획이다.
낙동강청과 울산시는 협약 참여 기업체의 감축 이행여부를 매년 확인하고, 대기질 개선활동에 필요한 정보제공 등 기업체 저감 목표이행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지원하며, 기본부과금 감면, 자가측정 주기조정, 지도·저감 주기조정 및 목표 달성 시 우수사업장 선발 표창 등 인센티브를 제공 할 계획이다.
동남권 미세먼지연구·관리센터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기술자문 및 협약 참여 기업체의 감축 이행 및 평가를 지원한다.
또한 협약에 참여한 31개 기업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방지시설 설치·개선, 사업장별 강화된 배출농도 자체 설정⋅운영, 연료개선 뿐만 아니라 친환경차량 사용과 같은 다각적인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수립·추진키로 했다.
홍동곤 낙동강청장은 국가산업발전을 선도하는 대표기업에서 매년 성장하고 있는 녹색산업에 발맞춰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자발적협약 참여에 감사를 표하며, “미세먼지 문제해결을 위해선 산업계와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이 중요하다”면서 자발적 협약의 적극적인 이행과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