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군위군이 다음달부터 대구시로 편입된다. 대구시는 9번째 기초지자체를 맞이하며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넓은 지역이 된다.
14일 대구시에 따르면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되는 ‘경북도와 대구시 간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에 따라 ‘대구시 군위군’ 시대를 맞이한다.
2020년 7월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을 전제조건으로 군위군 소보면과 의성군 비안면에 대구경북신공항을 건설하기로 시·도 간 공동합의를 한 지 3년 만이다.
이날 군위군 대구시 편입 준비 추진 상황 보고회를 통해 실·국별 주요과제 추진 상황을 최종 점검했다.
대구시 면적은 기존 885㎢에 군위군 면적 614㎢가 더해져 1,499㎢로 커진다. 이는 수도 서울 면적 605㎢의 2.5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천 1,066㎢, 울산 1,062㎢, 부산 770㎢ 등에 비해서도 월등히 큰 규모다.
전체 행정구역은 군위군 1읍·7면이 더해져 7구·2군·7읍·10면·133동 체제로 개편된다. 인구의 경우 군위군 인구 2만3219명이 더해져 대구시 인구는 238만251명으로 늘어나고, 예산 규모도 군위군 예산 4,005억 원이 더해져 16조 8,682억 원이 된다.
이번 편입으로 군위군민도 대구시민안전보험에 추가 가입되고, 보훈수당과 함께 군위군은 지급하지 않는 5·18유공자, 특수임무유공자 수당도 추가 지급된다.
공영장례서비스와 태아 기형아 검사비, 대구 시립 화장장인 명복공원 이용 등 복지혜택도 강화된다.
소방 관할도 변경됐다. 소방 민원서비스와 재난현장 지휘․감독을 강북소방서에서 관할하게 된다. 경찰 사무는 군위군 편입법 부칙 경과조치에 의거 내년 1월1일부터 군위경찰서(4개 파출소 포함)의 조직·인력 및 장비·시스템 등이 경북경찰청에서 대구경찰청 관할로 변경된다.
교육 부문은 군위군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선택권 및 교육혜택 확대를 위해 고등학교의 경우 군위군을 1학군으로 편입해 내년부터 군위지역 중학생들이 대구 지역 고등학교로 진학할 수 있도록 했다.
대구의 농업인구는 14%가 증가한 5만9183명으로 광역시 중에서 가장 많고 경지면적도 기존 6,917㏊에 군위군의 6,867㏊를 더해 총 13,784㏊로 늘어나 대구 농정규모가 기존의 2배 가까이 증가한다.
대중교통은 칠곡경북대병원역~군위터미널(급행9) 및 칠곡경북대병원역~우보정류장(급행9-1)을 오가는 급행버스 2개 노선이 신설된다.택시 요금 체계도 통합되며, 어르신 통합 무임교통카드도 발급한다.
상·하수도 요금은 2025년까지 이원체제로 운영하고 2026년에 감면제도를 통합, 2027년부터 일괄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또 수돗물 안전성을 높이고자 상수원수 38개, 정수 60개로 돼있는 군위군 수질검사 법정 항목을 각각 310개, 320개로 대폭 확대한다.
오는 22일에는 대구-경북-군위 부단체장이 참석하는 군위군 대구시 편입 기념 상생·화합 간담회를 개최해 그간 추진 상황을 정리하고, 편입 이후 화합·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어 다음달 3일 기념식을 끝으로 ‘군위군 대구시 편입’이라는 3년여 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김종한 행정부시장은 “127년간 경북도의 식구였던 군위군이 오는 7월 1일 대구시의 새로운 식구가 돼 ‘대구시 군위군’ 시대를 맞이한다”라며 “각 실·국에서는 마지막까지 주요 후속 조치 사항을 꼼꼼히 관리하여 군위군 편입이 안정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역량을 집중해달라”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