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뉴스=신규성 기자) 경북도의회에서 시도민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일수 경북도의원은 27일 경북도의회 제349회 도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시도민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은 채 번갯불에 콩 볶아 먹듯이 순식간에 후딱 해치워 버릴 사안이 아니다”며 현재 시도가 추진중인 통합절차에 대해 불만을 표했다.
김 의원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통합 내용과 실익이 무엇인지 학습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야 하고, 시도민의 사회적 합의를 거쳐 행정적·정치적 통합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대구시가 주장하는 시도의회 의결은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며 93명의 시도의회 의원이 결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500만 시도민의 의사를 물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형식 경북도의원은 “수도권 일극체제를 막고 인구소멸에 직면한 지방을 살리기 위해 대승적 차원의 행정통합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도민과 도의회의 의견수렴 없이 통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짧은 시간 안에 속도전 하듯 추진하고 있는 현재의 행정통합에는 반대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연일 대구시가 경북도와 합의되지 않은 청사, 시군 자치권 축소, 주민투표 및 공론화위원회, 28일로 못을 박은 합의안 통합 시점 등을 일방적으로 보도하는 등 경북과 대구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철우 도지사의 명확한 입장과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이 의원은 “도민의견 수렴을 통해 통합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주민투표를 실시해 도민의 의견이 통합과정에 주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행정통합 이후 발생될 갈등 요소에 대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통합이 진행돼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연규식 경북도의원은 “행정통합이 되면 학령기 자녀·부모의 대구 쏠림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 의원은 “경북교육청 차원에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만반의 준비를 갖춰야 한다. 도내 권역별·시군별 거점학교들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균형 있는 교육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성만 경북도의장도 질의 말미에 대구경북통합관련 문제점을 지적했다.
박성만 의장은 “정치인은 말로써 이 세상 이끌고 가는 것이다. 상대에 대한 예의 없는 언사들 때문에 이해 당사자 입에서 도민들에게 상처를 입힌다. 무릇 정치인의 말 한마디는 바윗덩어리보다 무거워야 하는데, 대구시장은 말 한마디가 깃털처럼 가볍고, 권력의 쓰임새는 바위 덩어리처럼 쓰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시 한 번 260만 도민을 대표해서 서로에게 상처 주는 것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