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9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6년 정부 예산안’에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비롯한 교통·물류, 금융·창업, 디지털 신산업, 문화·관광 등 주요 역점사업이 대거 반영됐다고 밝혔다.
시는 올해 초부터 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신규 사업 발굴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지난 14일 박형준 시장이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직접 만나 국비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막판까지 중앙부처를 설득한 끝에 거둔 성과라는 평가다.
가장 주목되는 분야는 교통·물류다. 수차례 유찰과 지연으로 난항을 겪던 가덕도신공항 건설 사업은 내년도 정부안에 6890억 원이 반영되며 적기 개항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또 서부산 교통망 개선을 위한 도시철도 사상~하단선(300억 원), 하단~녹산선(370억 원), 낙동강 횡단 교량인 대저대교(70억 원), 엄궁대교(320억 원), 장낙대교(100억 원)도 포함돼 인프라 확충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창업·금융 분야도 탄력을 받는다. 북항 글로벌 창업허브(50억 원)가 내년 조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며, 블록체인 특화 클러스터(22억 원)와 그린스타트업 타운(65억 원)도 예산안에 반영됐다. 시는 이를 통해 부산이 글로벌 금융도시이자 아시아 대표 창업도시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디지털·신산업 부문에서는 지역 주도형 인공지능(AI) 대전환 사업(70억 원), 에이엑스(AX) 기반 에이지테크 실증거점(30억 원),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고부가가치화 기술개발(20억 원), 해양·항만 AX 실증센터(3.6억 원) 등이 새롭게 반영됐다. 시는 이를 통해 인공지능·바이오·에너지 등 첨단산업 생태계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관광·문화 분야도 다채롭다. K-콘텐츠 기반 관광생태계 고도화(12.5억 원)를 비롯해 낙동선셋화명에코파크(16.6억 원), 아미산 낙조 관광경관 명소화(8.1억 원), 수상워크웨이(35억 원), 국립 황령산 치유의 숲(18억 원), 국립 UN평화기념관 별관(2억 원), 영도 해양치유센터(20억 원) 등이 포함돼 관광 경쟁력 강화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조선해양 미래혁신인재양성센터(111억 원),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특구(18억 원), 중소조선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경쟁력 강화 지원(49억 원) 등 조선·해양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반도 마련됐다.
시는 향후 국회 예산 심사 과정에서도 행정부시장을 중심으로 국비 반영 필요성을 적극 설득하고, 지역 국회의원과 공조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회 일정에 맞춰 ‘국회 상주반’을 가동, 예산안 심사 종료 시까지 추가 확보에 총력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한 결과 부산시의 주요 사업이 상당 부분 반영돼 글로벌 허브도시로 성장할 기반이 마련됐다”며 “남은 국회 심사 과정에서도 부산의 미래를 위한 사업이 추가 확보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