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고속철도 2단계·국립 김산업 진흥원 설립 등 중점 건의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3일 국회에서 한병도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만나 2026년 전남 핵심 현안사업의 예산 반영을 요청했다.
김영록 지사는 “지역 균형발전을 완성하고 인구소멸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선 SOC 등 기본 인프라가 조속히 추진되고, 미래 100년 먹거리 사업이 예산에 반영돼야 한다”며 “꼭 필요한 예산인 만큼 잘 살펴봐달라”고 말했다.
특히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에 대해 “무안국제공항 재개항과 연계한 활성화를 위해 2026년 말까지 조기 개통이 필요하다”며 전 구간 예산 1천315억 원 중 미반영된 499억 원 전액 반영을 요청했다.
지난 8월 예타를 통과한 고흥~봉래 국도 15호선 4차로 확장 사업에 대해서도 기본 및 실시설계비 50억 원의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또한 전남이 국내 최대 김 생산·수출 지역임을 감안해 종자 개발부터 수출 마케팅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는 ‘국립 김산업 진흥원’ 설립을 위한 2026년 마스터플랜 수립비 10억 원을 반영해줄 것을 요청했다.
미래 첨단 축산업을 선도할 ‘AI 첨단 축산업 융복합 밸리’ 사업은 정부 차원의 타당성 검증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어 사전타당성 용역비 5억 원을 건의했다.
이외에도 민간 발사체 산업 육성을 위한 민간전용 우주발사체 엔진연소시험시설 구축(20억 원), 여수산단 폐찌꺼기를 활용해 수소·일산화 탄소를 생산하는 디지털 기반 자원순환 시범산단 구축(40억 원) 예산을 요청했다.
또한 ▲전남도 5·18기념관과 커뮤니티센터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비(5 억 원)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전남센터 유치(10억 원) ▲전남 갯벌생명관 기본설계 용역비(9억 원) ▲신안 에코섬 내륙연안습지 조성 기본설계 용역비(13억 원) 지원도 함께 요청했다.
이에 한병도 위원장은 “전남지역 현안 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며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전남 예산을 적극적으로 챙기겠다”고 답했다.
전남도는 국회 예산 최종 의결까지 여·야 지도부, 지역 국회의원 등과 긴밀히 소통·협력해, 전남 발전을 위한 현안 예산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