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네트웍스가 지난 17일 워커힐 호텔앤리조트 웨이브힐에서 ‘SK네트웍스 AI WAVE 2025’를 열어 회사의 AI 관련 주요 글로벌 투자 포트폴리오를 소개하고, AI 산업의 미래와 소버린 AI 방향성에 관한 패널 토의 등을 했다고 18일 밝혔다.
AI WAVE는 유망 AI 스타트업이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스타트업과 투자자 간 연결과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SK네트웍스가 주최하는 행사로, 지난 2023년 처음 시행한 데 이어 2회째를 맞았다.
이번 행사는 SK네트웍스가 투자한 펀드 운영사 중 하나인 HF0(Hacker Fellowship Zero)가 후원사로 참여했으며, 업계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 주최자로서 기조발표 연단에 선 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은 “기술을 중심으로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도태되지 않으려면 혁신성을 지닌 스타트업과, 이를 지원하는 투자자들의 원활한 정보 교류 속에서 성장 기회를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번 자리를 통해 SK네트웍스가 2020년경부터 구축해온 하이코시스템 기반의 AI 투자 포트폴리오를 공유하고, 기술-자본-비전이 연결되는 AI 생태계 확장을 추진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SK네트웍스가 AI 전략 방향성 아래 직∙간접적으로 투자한 대표적인 스타트업들의 소개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선 LLM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기업고객에게 필요한 AI 모델과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업스테이지’, 제약산업에 특화된 생성형 AI 솔루션을 출시하고 국내외로 사업 확장을 추진 중인 ‘피닉스랩’ 등의 기술 발표가 이뤄졌다.
아울러 AI를 기반으로 소비자와 자본 제공자 양쪽에 더욱 효율적인 거래를 제공하는 대출 플랫폼 등 SK네트웍스 미국 법인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펀드의 포트폴리오 기업 소개도 이어졌다.
이날 행사에선 특히 최 사장과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의 대담 세션이 마련됐다. 둘은 ‘소버린 AI의 미래’를 주제로 국가 차원의 AI 생태계 활성화 및 기술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최 사장은 “소버린 AI는 디지털 주권 확보와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정부 주도의 과감한 투자와 공공-민간 협력 모델을 통해 한국만의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표준과의 정합성 확보 및 국내외 파트너십 활용을 통한 기술 생태계 확장에 나서야 한다”며 “우리나라 법∙제도∙산업 환경에 최적화된 소버린 AI의 장점을 살린 맞춤형 모델로 글로벌 빅테크 범용 모델과 차별적 가치를 지닐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SK네트웍스는 AI 스타트업 및 투자 파트너 등 이해관계자들과 기술산업 변화 정보를 공유하고 동반성장 가치를 키워갈 수 있도록 AI WAVE와 같은 행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회사의 사업모델 혁신 및 투자 협력 시너지를 높여 AI 기업으로 진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