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전원석 부산시의원, 대형 소방공사 현장 ‘기습 점검’

“시민 안전은 타협할 수 없어… 감리·안전관리 철저히 해야”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10.31 11:26:14

30일 전원석 부산시의원(중앙)이 건축 현장을 찾아 소방 공사 진행상황을 살피고 있다.(사진=시의회 제공)

부산시의회 해양도시안전위원회 전원석 의원(사하구2, 더불어민주당)이 30일 부산소방재난본부 관계자들과 함께 사상구 삼락복합문화체육센터와 영도구 해양과학기술 산학연 협력센터 건축 현장을 잇따라 방문해 소방공사 진행상황과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다.

이번 현장 점검은 최근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사고 이후 유사한 대형 화재 사고를 사전에 막기 위해 추진됐다. 전 의원은 소방공사업체와 감리업체 관계자들로부터 감리일지 및 체크리스트 작성 현황, 소방용품의 성능인증 제품 사용 여부, 작업자 안전교육 실시 여부 등을 보고받고 현장 안전기준 준수 여부를 꼼꼼히 살폈다.

특히 소방본부의 최근 점검 결과, 372개 공사현장 중 138개소를 점검한 가운데 임시소방시설 미설치나 소방안전관리자 미선임 등 12개 현장이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 이 부분에 대한 점검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전 의원은 두 현장이 동일한 감리업체와 감리원이 중복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감리 책임자의 법적 의무 이행과 감리일지 작성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은 어떠한 이유로도 타협될 수 없다”며 “대형 공사 현장에서의 부실시공은 향후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감리와 점검 단계에서부터 철저히 관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일부 현장에서 임시소방시설 미비나 감리 인력 부족 등 기본적인 안전관리 미흡 사례가 여전히 보고되고 있다”며 “두 개의 대형 현장을 동일 감리원이 총괄하는 구조는 관리 사각지대가 생길 우려가 있는 만큼, 소방본부는 안전점검을 강화하고 인허가 절차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소방본부가 감리업체 PQ(사전심사) 대상 확대, 제3의 공인기관 사전확인 제도 도입, 화기 취급 감독 법제화 등을 소방청에 건의한 만큼, 현장의 부실 감리를 근절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 의원은 끝으로 “이제는 사후 대응이 아니라 사전 예방 중심의 안전행정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부산을 만들기 위해 시의회 차원에서도 지속적인 현장 점검과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