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목포 등 일부 선거구서 동일 주소 다수 등록 정황
“공정경선 흔드는 구조, 당원관리 시스템 전면 재정비 필요”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령당원’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일부 지역에서 동일 주소지에 다수의 당원이 등록된 정황이 포착되면서, 조직적 입당 의혹이 지역정가로 확산되고 있다.
동일 주소에 16명 등록… 조직적 입당 정황
민주당 중앙당과 전남도당은 최근 권리당원 명부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신안군 임자면의 한 주소지에서 최대 16명의 당원이 등록된 사실이 확인됐으며, 이 가운데 일부는 내년 신안군수 출마가 거론되는 인사의 친인척 주소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전남도당은 현재 가족관계가 아닌 동일 주소지 내 4명 이상 당원 등록 사례를 중심으로 실태를 점검 중이다. 도당 관계자는 “특정 주소로 당적이 집중 이전된 사례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목포 지역서도 유사 정황… “사후조사 실효성 의문”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미 상당수 조직적 입당이 진행된 뒤라 사후조사로는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목포시에서도 도의원 출마를 염두에 둔 예비후보 선거구 내에서 유령당원 전적 흔적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내 식당 주소를 활용해 복수의 당원이 등록된 사례가 확인되면서, “실제 거주하지 않는 인원이 당적만 옮긴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당원관리 시스템 허점… “본인인증만으로 전적 가능”
민주당의 당원관리 시스템이 주민등록 행정망과 연동되지 않아 실제 거주지 확인이 어렵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온라인 전적의 경우 본인인증만으로 가능하고, 거주지 증빙서류가 필요하지 않아 사실상 관리가 느슨하다는 것이다. 추천인 기재 또한 의무사항이 아니어서 당적 이동 경로를 추적하기도 어렵다.
“천원당비 권리당원제, 제도 개선 시급”
민주당 내부에서는 권리당원 자격요건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현재 월 1000원 이상 당비를 납부하면 권리당원 자격을 얻을 수 있지만, “실질적 활동이 있는 5000원 이상 납부자만 권리당원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 경선 참여 요건도 현행 ‘1년 이내 6개월 당비 납부’에서 ‘2년 이내 1년 이상 납부’로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명목상 당원이 수천 명씩 동원되는 구조를 개선하지 않으면 공정한 경선은 기대하기 어렵다”며 “이번 기회에 당원 관리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당, 징계 절차도 검토 중
민주당 중앙당은 현재 전남 지역 전수조사 결과를 취합 중이며, 조사 결과에 따라 재등록 취소나 당원 자격 정지 등 징계 절차를 검토 중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사안은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시스템의 실패”라며 “공정경선 신뢰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민주당의 도덕성과 정통성은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