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는 오는 2026년부터 시행되는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과 관련해, 정책 시행 이후에도 폐기물 대란 우려가 없다고 밝혔다. 파주시는 생활폐기물을 전량 소각 처리하고 있어 직매립 금지에 따른 영향이 사실상 없다는 입장이다.
파주시는 탄현면 환경관리센터 광역소각시설과 운정 환경관리센터 소각장 등 2곳의 소각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하루 최대 처리 용량은 각각 200톤, 90톤이다. 이 시설들을 통해 자체 처리하는 생활폐기물량은 연간 7만 톤 수준이다.
시는 지난 2002년부터 소각 중심 처리 체계를 구축해 왔고, 소각 후 잔재물 처리를 위한 자체 소각재 매립시설도 함께 운영해 왔다. 해당 시설 규모는 2만8,370㎡다. 파주시는 관내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자체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춘 만큼 직매립 금지 정책이나 수도권매립지 반입 제한에 따른 혼란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파주시는 기존 소각시설 노후화에 따른 처리 능력 저하에 대비해 하루 700톤 규모의 신규 광역 소각시설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 현재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전략영향평가 본안을 협의 중이며 오는 2031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파주시는 이미 직매립을 하지 않는 처리 체계를 갖추고 있어 직매립 금지 정책의 직접적 영향은 크지 않다”며 “새 소각시설도 주민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투명하게 진행해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도시 파주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