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울경 시민단체, 가덕도신공항 신속 착공·활주로 2본 촉구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11.24 11:28:43

24일 부울경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가덕도신공항의 조기 착공과 활주로 2본 기반 조성을 촉구하고 있다.(사진=임재희 기자)

부울경 12개 시민단체가 24일 부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교통부의 가덕도신공항 공기 106개월 발표와 관련해 “이제는 가덕도신공항을 제대로 된 국가전략공항으로 다시 세워야 한다”며 세 가지 요구안을 제시했다. 시민사회는 “과거의 축소 설계가 부른 공기 지연을 되풀이해선 안 된다”며 “착공은 신속히, 그러나 설계는 제대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지후 가덕도허브공항시민추진단 상임대표는 취지 발언에서 “가덕도신공항은 단순한 공항이 아니라 대한민국 항공·물류 경쟁력의 기반이자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할 국가전략 플랫폼”이라며 “과거 2030엑스포 일정에 매달린 정치적 결정으로 활주로 1본짜리 축소 계획이 강행됐고, 그 결과 엑스포는 무산되고 공기는 오히려 84개월에서 106개월로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누구를 비난하자는 자리가 아니라, 지금부터 제대로 된 공항을 어떻게 만들지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사회가 제시한 첫 번째 요구는 활주로 2본 기반 부지 조성의 기본계획 반영이다. 단체들은 “해상공항은 초기 단계에서 확장성이 결정되기 때문에 지금 2본 활주로 기준으로 부지를 확보하지 않으면 추후 확장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공기는 늘었는데 공항 규모가 그대로라면 그것이야말로 국가적 비효율”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반쪽짜리 1본 공항은 가덕도신공항을 지방공항으로 고착시키는 결과를 낳는다”며 “공기를 늘렸다면 공항의 미래도 넓혀야 한다”고 정부에 요구했다.

두 번째 요구는 지역 건설사의 참여 확대다. 단체들은 “10대 대형 건설사 중심의 기존 구조는 현실과 맞지 않는다”며 “도급순위를 20대사로 완화하고, 컨소시엄을 3개에서 5개로 확대하며 분할 발주를 도입해야 공기 단축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신공항 건설은 국가균형발전의 명분으로 추진되는 만큼 지역 중견 건설사와 지역 기술의 참여는 공사 품질 확보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필수”라고 강조했다.

세 번째로는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에 가덕도신공항의 ‘관문공항’ 위계를 명시할 것을 요구했다. 시민사회는 “84개월이냐 106개월이냐의 숫자 싸움보다 중요한 것은 어떤 공항을 지을 것인가에 대한 국가적 선택”이라며 “오는 12월 발표될 공항개발계획에 가덕도신공항을 명확히 국가전략·관문공항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발표된 결의문에서 단체들은 “가덕도신공항은 특정 정권이나 특정 지역의 사업이 아니라 대한민국 항공전략 100년이 걸린 국가프로젝트”라고 강조하며 “현 정부가 과거의 잘못을 떠안는 희생양이 되기보다 축소 설계를 바로잡고 가덕도신공항을 대한민국 대표 관문공항으로 격상시키는 역사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대통령을 향해 “활주로 2본 기반 부지 조성과 관문공항 명시를 직접 책임 있게 결정해달라”고 호소했다.

끝으로 “과거의 실수에 머무르지 말고 미래 100년의 항공·물류·경제 지도를 다시 설계해야 한다”며 “가덕도신공항을 남부권 관문공항이자 국가전략공항으로 구축한다면 다음 세대가 세계와 경쟁하는 새로운 하늘길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