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 명지국제신도시, 바이오·교육·의료·문화 아우르는 ‘글로벌 명품도시’ 도약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로얄러셀스쿨·동국대 의료원 유치하며 미래도시 청사진 가속

  •  

cnbnews 임재희기자 |  2025.11.24 16:16:45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명지국제신도시 전경.(사진=부산진해경자청 제공)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명지국제신도시가 바이오 R&D 중심 산업도시를 넘어 교육·의료·문화가 결합된 ‘글로벌 명품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연구·산업·정주가 선순환하는 미래형 복합도시로 체질을 바꾸며 동남권 성장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다.

명지국제신도시는 이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 데상트코리아 R&D센터, SA지오랩 R&D센터 등 글로벌 기업 연구개발시설을 갖추며 바이오 R&D 거점으로 기반을 다져왔다. 여기에 국제 비즈니스 환경을 위한 최첨단 오피스빌딩, 프리미엄 비즈니스 호텔, 컨벤션센터 등이 들어서면서 기업 활동과 국제교류가 함께 이뤄지는 도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문을 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는 명지의 변화를 상징하는 대표적 시설이다. 2024년 10월 완공된 이 연구센터는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대규모로 투입된 바이오 제약 R&D 클러스터로, 약 3만1000㎡ 규모 부지에 항체 의약품의 연구·임상·상업화·생산까지 가능한 ‘풀 밸류체인’을 갖췄다. 이로써 명지는 글로벌 바이오기업 유치를 위한 확실한 경쟁력을 확보했고, 지역 내 산학연 협력 확대와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도 속도가 붙고 있다.

박성호 경자청장은 지난 4월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고상석 대표와 만나 협력방안을 논의하며 “명지를 바이오산업 중심지로 육성해 청년 일자리와 지역 경제의 성장 동력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산업에 이어 교육·문화 분야에서도 명지의 변화는 눈에 띈다. 경자청은 부산시, 주한영국대사관,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 설립추진단과 함께 ‘영국문화마을’ 조성을 위한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영국 건축양식의 주거단지, 더블데커 버스, 시계탑 거리, 공연·전시공간 등이 조성될 예정으로, 명지국제신도시는 영국 문화 콘텐츠가 살아있는 ‘리틀 런던’을 품게 된다.

 

5월 열린 영국문화마을 설립을 위한 투자양해각서 체결식에서 (좌쪽부터)로날드 해든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 설립추진단장,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 박형준 부산시장, 박성호경자청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경자청 제공)

또한 명지국제신도시의 품격을 높이는 핵심 프로젝트로 영국 로얄러셀스쿨 부산캠퍼스 설립이 본격 추진되고 있다. 지난 9월 로얄러셀스쿨 설립추진단이 경자청을 방문해 운영계획을 협의했으며, 앞서 박형준 시장은 영국 본교를 직접 찾아 교육·문화 프로그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1853년 설립된 로얄러셀스쿨은 영국 전통 명문 사립학교로 2022년 ISI 평가에서 전 영역 ‘Excellent’를 받은 바 있다.

부산캠퍼스는 2028년 하반기 개교를 목표로 총사업비 1749억 원, 정원 1350명 규모로 추진되며 해외 거주 요건 없이 내국인이 입학 가능한 부산 최초의 ‘외국교육기관’이 된다. 이는 해외 유학 수요를 지역 내에서 흡수하고, 글로벌 기업 주재원 가족의 정주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전망이다.

명지국제신도시 변화를 마무리하는 핵심 퍼즐은 의료 분야다. 지난 6월 동국대학교 의료원 유치가 성사되며, 21년간 이어진 경자청의 숙원이 드디어 결실을 맺었다. 명지지구 내 조성될 복합 메디컬 타운은 최신 의료기술과 예방의학, 디지털 헬스케어가 결합된 고부가가치 의료 복합단지로 조성된다.

동국대 의료원은 고난도 암 진료와 장기이식 분야에서 강점을 가진 첨단 스마트병원 체계를 갖춘 기관으로, 향후 외국인 투자기업 종사자와 주재원 가족들에게 안정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전망이다. 메디컬 타운 조성이 본격화되면 서부산 지역 의료 인프라의 질적 도약과 함께 의료관광·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확장도 기대된다.

박성호 청장은 “명지는 이제 단순한 신도시를 넘어 일자리·교육·의료·문화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명품도시’로 도약하고 있다”며 “부산진해경자구역의 중심에서 세계가 주목하는 미래도시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