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가 25일과 26일 양일간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엑스포 및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TOC Asia 2025’에 참가해 부산항의 스마트 항만 운영성과와 협업기업들의 항만 물류 신기술을 적극 홍보했다. 세계 주요 터미널 운영사와 항만 장비기업, 해운·물류 IT 기업 등 2,000여 명이 참여하는 아시아 대표 항만·터미널 전문 전시회에서 부산항의 디지털 전환 성과를 전 세계에 알린 것이다.
올해 행사에는 약 100여 개 기업이 부스를 설치해 최신 항만 기술을 선보였다. BPA는 부산항의 디지털 전환 전략, 자동화 기술 도입 현황, 스마트 포트 추진 방향 등을 소개하며 글로벌 항만·물류 기술 트렌드를 파악해 향후 경쟁력 강화 전략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산항만공사는 전시장 내 공동 홍보 전시관을 운영하며 기술협력 우수사례 기업들의 개발성과도 함께 전시했다. 「시스콘」의 ‘항만 환적화물 자율운송 시스템’, 「㈜엔키아」의 ‘항만크레인 와이어로프 상시진단 시스템’ 등이 소개돼 해외 바이어와 전문가들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BPA 창업지원 플랫폼 ‘1876부산’ 입주기업 4개 사도 참여해 국제 무대에서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했다. ▲「서안에스엔씨」의 ‘컨테이너 정렬상태 모니터링 기술’ ▲「디플러스」의 ‘자동하역장비 로봇 솔루션’ ▲「파이시스소프트」의 ‘디지털 트윈 기반 터미널 운영관리 시스템’ ▲「언더워터솔루션」의 ‘수중로봇·ROV 기술’ 등 현장 적용이 가능한 혁신기술을 공개했다.
BPA는 전시회 외에도 싱가포르 항만기술 육성기관 PIER71을 방문해 현지 기술 스타트업과 교류하고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스마트 항만기술 트렌드를 분석하고 창업기업 지원 모델을 벤치마킹하는 등 국제 협력 기반을 넓힐 계획이다.
송상근 사장은 “TOC Asia는 글로벌 항만·물류 관계자가 모이는 국제 행사인 만큼, 부산항의 자동화·디지털화 정책에 반영할 새로운 기술 트렌드를 면밀히 살피겠다”며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BPA가 든든한 후원자로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