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개발자회의(WWDC)에서
애플이 아이폰, 아이패드, 맥(MAC), 아이팟터치로 이어지는 애플 시리즈의 시너지 강화를 노린 클라우드 서비스 ‘아이클라우드(iCloud)'를 공개했다. 경쟁사인 아마존과 구글이 이미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한 상황이라 시장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업계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애플은 6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센터에서 열린 세계 개발자회의(WWDC)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인 아이클라우드와 아이폰과 아이패드 운영체제(OS) iOS5, 그리고 애플의 PC 맥(MAC) OS인 OS X 라이언의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이날 발표 중 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애플이 처음으로 선보인 클라우드 서비스 '아이클라우드'였다.
아이클라우드의 특징은 어느 하나의 기기에서 사진을 찍거나 문서를 편집하게 되면 별도로 다른 기기에 옮기지 않아도 자동으로 모든 기기에서 해당 정보가 동기화되는 것으로 가령 아이폰에서 사진을 찍고 맥이나 아이패드에서 방금 찍은 사진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동기화 되는 것은 사진과 문서 뿐 아니라 음악, e북, 주소록, 일정 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 다뤄지는 대부분의 자료가 포함된다.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스티브잡스는 아이클라우드를 직접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발표하는 자리에서 “이제는 모든 기기에서 음악과 영상을 저장하고 즐기고 있다”며 “이 모든 자료를 일일이 동기화하는 것은 정말 성가신 일”이라고 아이클라우드 서비스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또 "많은 사람이 클라우드를 하늘에 떠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우리는 그 이상을 제공한다"면서 "(모든 동기화는) 스스로 일어난다"고 덧붙였다.
개별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클라우드 서버의 공간은 5GB로 음악, 앱, 책, 사진 등을 제와ㅣ한 메일과 문서 계정정보 등을 위해 사용된다.
스티브잡스는 ‘클라우드 아이튠즈’도 소개했다.
클라우드 아이튠즈는 아이튠즈에서 구입한 콘텐츠를 PC를 연결하지 않고도 다른 기기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기능으로 자신이 구입한 모든 콘텐츠를 아이폰, 아이팟, 아이패드 등에서 바로 자동으로 다운 받을 수 있다.
컴퓨터에 설치된 아이튠즈를 통해 음원을 구입하면 아이폰과 아이패드에서 자동으로 다운받아 사용자들이 일일이 구입한 음원을 동기화 시킬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클라우드 아이튠즈에 ‘아이튠즈 매칭’이라는 기능을 내장해 아이튠즈가 보유한 1800만곡의 음악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해 사용자가 보유한 음원의 경우 아이클라우드로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 하징 않고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아이튠즈 매칭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로 연 24.99달러로 책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