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자원회수시설(쓰레기소각장)의 공동이용이 지난 6월 30일 마지막 남은 '노원자원회수시설'의 주민지원협의체와 광역화에 합의, 올 상반기 공동이용에 돌입한 양천, 강남소각장과 더불어 3개 소각장에 대한 광역화가 타결돼, 서울시 폐기물정책에 일대 전기를 마련하게 됐다
이에 따라 건설 당시부터 공동사용을 전제로 지어져 용산. 중구 등 다른 지역 쓰레기를 반입. 처리하고 있는 마포쓰레기소각장을 비롯해 서울시내에 건립된 4개 소각장 모두가 광역화에 돌입하게 됐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노원주민지원협의체와 이웃 4개 자치구의 쓰레기를 함께 처리키로 합의하고, 오는 11일 오전 9시부터 중랑, 성북, 도봉, 강북구에서 배출한 쓰레기를 노원소각장에 반입한다고 설명하고, 공동이용에 돌입한 노원소각장 간접영향권 내(300m) 주민 6190세대에게 반입량 1t당 2만1000원씩의 출연금을 2020년까지 한시적으로 시에서 지원하기로 했으며, 특히 난방비 지원금이 현 50%에서 70%로, 반입수수료에 따른 지원기금도 현 7%에서 10%로 늘리고 타구 쓰레기 반입 가산금도 10% 출연하기로 했다.
또한 공동이용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전문기관에 의뢰, 노원소각장 뿐만 아니라 양천. 강남소각장에 대한 시설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시설의 신뢰성 제고를 위해 다이옥신 연속시료채취장치를 설치하는 한편 3년마다 정기적으로 환경상영향조사. 주민건강상영향조사를 실시키로 했다.
관계자에 의하면 "자원회수시설의 공동이용이 시행됨에 따라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해 수도권매립지 사용기간을 최대한 연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타구 쓰레기를 반입함에 따라 t당 수도권매립지 수준의 반입료를 징수하게 될 양천, 강남, 노원구의 재정재립에도 크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매립지를 이용하고 있는 6개 자치구도, 소각장 여유용량이 생기는 대로 주민들과 협의를 통해 소각처리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수도권매립지까지 쓰레기 운반에 따른 수송시간을 단축하게 돼 이로 인한 연료비 절감과 쓰레기 수거시간 단축 등으로 주변 환경 개선은 물론 각 자치구가 사용하고 있는 적환장 사용이 축소될 것이 예상됨에 따라 적환장 유지비용 절감 및 지역주민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